머그컵과 청사과

선생님 2013.08.11 05:35:16 재생시간: 재생시간:

 

 

하얀 머그컵과 청사과는 기초에서 배웠던 원기둥과 구의 기본 꼴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기초과정의 내용을 다시 되새겨 기본적인 형태와 명암에 기초해서 실수가 없도록 하자.

 

11.JPG

처음에는 가볍게 옅은 선을 써서 스케치해주고 점점 확실하게 잡아준다.






22.JPG

컵의 투시는 거의 없는듯 아주 조금만 투시를 주는데 너무 투시를 많이 주거나 아래쪽이 오히려 넓게 잡지 않도록만 유의 한다. 그리고 원기둥의 형태 잡을때 강조했던 위아래 둥근면이 원추형이 되지 않도록 조심한다.


사과의 모양은 정면에서 약간 틀어져있어 비율은 정원에서 조금만 더 길게 잡아준다.






33.JPG

배경에만 물을 발라주고 차분하고 채도가 비교적 낮은색으로 다양하게 색변화를 줘서 풍부한 느낌을 표현한다.






44.JPG

정물 부분 채색에서 머그컵은 비교적 밝은 파란색과 황토색계열의 색을 혼색해서 밝은 채도가 낮은 색을 만들어 윗부분에 찍어주고 점점 아래로 풀어준다. 이렇게 처리하면 자연스럽게 명암과 양감, 반사광이 표현된다.






55.JPG

청사과는 녹색인데 팔레트의 녹색 그대로 쓰면 색이 너무 인공적이니까 약간 노란색을 조금 섞어서 자연스러운 느낌이 나도록 한다.

먼저 명과 암의 경계 부분을 일단 찍어주고 바로 풀어주면 기본 덩어리가 표현되고 어두운 흐름을 잡아 양감을 강화해주고 그림자도 처리해준다. 그림자는 점점 뒤쪽으로 갈수록 흐릿하게 풀어줘서 공간감을 표현하자.






66.JPG

사과 꼭지같은 세밀한 표현도 해주고 머그컵에 비친 청사과도 어렴풋하게 처리해서 유약이 발려진 질감을 표현한다. 그리고 어두운 부분의 톤을 한층 어둡고 차갑게 보강해주도록 하자.

손잡이 부분에서는 둥글둥글한 형태라 특별한 각이 없으니 어두운 흐름을 잘 잡아야한다. 세세한 관찰로 위쪽의 바깥면이 보이고 그아래에는 안쪽 면이 보이는 형태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표현한다.







77.JPG

마무리 단계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한번씩 다듬어준다. 가령 청사과에서는 외곽 형태 정리해주고 꼭지부분 묘사 더욱 확실하게, 머그컵 부분에서는 배경과 바닥이 어렴풋하게 비친 부분을 잡아주면 유약이 발려진 질감을 한층더 사실적으로 표현 할 수 있다.




DSC_7098.JPG

소재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