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만한 자료들을 올려두었습니다.

수채화물감 만드는 과정

 

 

Ⅰ. 화학적 방법 

 

1. 안료

 

  1) 안료의 종류

 

    - 천연 안료 : 황토, 백토, 헤나 등 식물에서 추출함

 

    - 합성 안료 : 무기안료, 유기 안료

 

 

무기안료와 유기안료와의 일반적 성질을 비교하면 무기계는 내광,내열성이 좋고 유기용매에 안정한 장점과 착색력이 약하고 색의 선명도가 매우 떨어지는 단점있다. 반면 유기계는 내열성, 내광성이 열세에 있으며 유기용매에 대부분 용해하여 불안정하다. 안료를 제조하고 사용하는 산업을 색재공업이라 칭하는데 도료, 인쇄잉크, 화구, 고무, 플라스틱, 염화비닐, 직포날염, 제지 및 가공지, 건재, 레쟈, 요업, 화장품등 산업 전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s1.jpg

 

무기 안료 (Inorganic Pigment)
화학적으로 무기질의 안료를 말하는데 천연광물 그대로 분쇄하는 가공을 거쳐 만든 것으로 아연, 티타늄, 납, 철, 구리, 크롬 등의 금속 화합물을 원료로 만드는 것이다.  
무기 안료는 입자가 유기 안료에 비해 크고 무겁기 때문에 물감의 투명성은 좋지 않다. 투명성을 높이고, 무겁고 큰 입자를 작은 입자로 만들기 위해서 특별한 분산 방법, 즉, 기계적 방법이 필요하다. 
발색성분의 무기물인 Zn(아연), Pb(납), Ti(티탄), Cd(카드뮴), Fe(철), As(비소), Co(코발트), Mg(마그네슘), Al(알루미늄) 등의 산화물 상태,유화물,유산염 의 형태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금속 화합물의 유체색계로 비중이 높으며 독성이 있으므로 제품의 소요적성에 조절하여야 한다.

 

유기 안료 (Organic Pigment) 
유기 화합물의 안료로 물에 불용성인 염료 또는 수용성인 염료에 금속염을 가해서 침전시킨 것이다.

탄화수소 화합물로 구성되는 환식의 유기화합물이다.
디아조, 커플러반응에 의해 입자가 생성되는 불용성 아조계와 염료상태의 입자로 형성되어 금속(Ba,Ca,Mn,Sr)으로 치환하여 입자화 시키는 용성 아조계가 있다.
무기계 안료보다 내열,내후성이 우수한 프탈로시아닌계를 비롯하여 티오인디고계, 안트라퀴논계, 축합아조계, 퀴나크리돈계 등 고급안료도 있으며 고가인 관계로 제품의 용도에 따라 적정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안료의 기술도 매우 발달해서 내광성, 내후성이 뛰어나면서도 발색이 좋은 안료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안료는 물감제조회사에서는 만들지 못한다. 그래서 안료를 선별하는 것이 중요한 개발과정이라 할 수 있다.

용도 : 인쇄잉크 → 도료섬유수지날염(염료) → 플라스틱 착색
         ⇒ 그림물감의 안료 사용은 일부

 

 

2) 안료와 염료의 차이

● 안료 : 불용성이라 물에 녹지 않는다. 미세한 알갱이로 구성되어 파우더 형태로 사용하지만 안료입자를 가능한 분산을 많이 시켜야 발색이 좋아진다. 이는 빛의 굴절에 의해 색상이 보여 지기 때문에 분산이 잘 되어 입자가 완만해야 밝고 화사하고 안료 고유의 본질의 색상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혼색 했을 때 탁해지지 않는다.

● 염료 : 수용성이다. OHD의 분자 상태로 물에 녹는다. 그래서 그림물감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입자가 녹아 버리면 색 분별이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종이에 색이 흡수가 되어 버린다. 또한 빛에 의해 쉽게 탈색된다.

 

가장 쉽게 설명하면 안료는 입자가 있고 염료는 입자가 없다.
예를 들어 안료와 염료를 분산 또는 용해시킨 용액에 실을 담가 그 단면을 절단해
관찰 한다면 실의 가장자리에만 색상이 있고 중심에는 색상이 없는 반면
염료는 실의 중심까지 색상이 침투해 있다.

s2.jpg

 

 



2. 전색제 


 

1) 아라비아검 
아라비아 고무 나무를 탈염하여 만드는 것으로 탄수화물 중량이 당이 10개 이상 결합되어 있는 다당류인데 증점 효과도 있고 광택효과가 있어 아이스크림, 과즙음료, 마가린, 빵 등에 사용된다.  

 

s3.jpg

 

안료의 입자를 고착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접착성분) 수용성이기에 물에 용해된다.
공업용과 식용으로 구분되어 제조 판매된다.

 

 

2) 구아검

IMG_1455.jpg

 

콩과 구아의 종자 배유부로 얻어지는 것으로 주로 식품의 점도
증가나 젤리 형성으로 사용된다. 물감에도 적절한 형태로 이용한다.

 

 

3. 증류수(Distilled Water)
IMG_1459.jpg

물은 증류수를 사용한다. 증류수는 물을 가열 했을 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모아서 만든 것으로 완전 순수물의 PH7의 중성이어야 한다. 지하수나 수돗물은 유기물과 무기물, 미생물 등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게 되면 물성 변화나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순도가 높은 물이 필요할 때는 한번 증류한 물을 1차 증류수, 두 번 증류한 것을 2차 증류수, 세 번 증류한 것을 3차 증류수라고 하는데 수채화 물감을 만들 때는 3차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다양한 첨가물


물감을 제조하는 회사마다 차별화된 다양한 첨가물을 넣고 있는데 안료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는 분산제, 계면활성제, 물감의 산도를 조절하는 중화제, 물감의 무게를 늘려 주는 증량제, 기포 제거를 위한 소포제, 물감의 점도를 높여 주는 증점제, 세균의 번식을 억제 시키는 방부제 등 다양한 첨가물을 적절한 양을 첨가한다.

s5.jpg

 

출처 : http://www.mijello.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아크릴 컬러와 아크릴 과슈는 어떻게 다른가?

  • 색채 · 재료학

아크릴 컬러와 아크릴 과슈는 어떻게 다른가? 아크릴 컬러는 유화처럼 투명한 광택의 색조를 내는 데 비하여 아크릴 과슈는 불투명하고 광택이 없고 은폐력이 강해서 디자인에 많이 쓰이고 있다. 아크릴 과슈는 얼룩 없이 고르게 칠해지며 붓질이 부드럽다. 사...

검정색 black의 종류와 탄생비화

  • 색채 · 재료학

[재료학]검정색 black의 종류와 탄생비화 열두가지 기본색중 빠질 수 없는 색이 바로 검정색입니다. 검정색에도 그 종류가 여러개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검정색은 만들어 지는 과정에 따라 다르며, 아래의 색상들은 검정으로 쓰이는 색명들+ 입니다. ​ ...

수채화물감 만드는 과정 - 기계적(물리적) 방법

수채화물감 만드는 과정  Ⅱ. 기계적(물리적) 방법  1. 배합 안료와 전색제들을 배합한다. 디졸바라는 기계를 이용해서 오랜시간 혼합한다. - 안 료 : 물감에 색을 나타내는 색소 - 전색제 : 안료를 수채화 용지에 고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수지 2. 분산 안료...

수채화물감 만드는 과정 - 화학적 방법

  • 색채 · 재료학

수채화물감 만드는 과정  Ⅰ. 화학적 방법 1. 안료 1) 안료의 종류 - 천연 안료 : 황토, 백토, 헤나 등 식물에서 추출함 - 합성 안료 : 무기안료, 유기 안료 무기안료와 유기안료와의 일반적 성질을 비교하면 무기계는 내광,내열성이 좋고 유기용매에 안정한 ...

색(色)이란 무엇인가?

  • 색채 · 재료학

색(色)은 빛(光)이 있기 때문이며, 색감각(色感覺)은 빛에 대한 지각적(知覺的) 현상이다. 따라서 색채에 있어서도 태양광은 그 기본이 되며, 그 중에서도 우리로 하여금 색채를 볼 수 있게 하여 주는 것은 태양광이다. 따라서 색채에 있어서도 태양광선은 그 ...

관용색의 색상표

  • 색채 · 재료학

관용색상표 관용색 관용색 이름 대응하는계통색이름에 의한 표시 1 대응하는계통색이름에 의한 표시 2 대표색의 좌표값 (KS A 0062기준) 벚꽃색 흰 분홍 2.5R 9/2 카네이션핑크 연한 분홍 연분홍 2.5R 8/6 루비색 진한 빨강 진빨강 2.5R 3/10 크림슨 진한 빨...

수채화 물감의 색깔별 특성

  • 색채 · 재료학

수채화 물감의 특성 1. 흰색 계열 차이니스 화이트<Chinese white) 산화아연을 주성분으로 만들어졌으며 유화에서 징크화이트와 비슷한 성질의 백색 안료이다. 물이나 아라비아고무와 혼합하면 종이에 잘 채색되고, 건조속도가 매우 빠르다. 그러나 수채화에...

색상명의 어원 및 해설 (한글.영문 표기법)

  • 색채 · 재료학

색 이 름 어 원 및 해 설 (한글.영문 표기법) 그래스 그린 Grass green 옛날부터 쓰인 색의 이름. 풀색. 같은 뜻의 한국말 "초록". 짙은 황록색(deep yellow green) 나일 블루 Nile bile 나일강 물빛에서 온 말. 녹색 기미의 흐린색(dull greenish blue) 네이...

색채명에 붙은 Permanent는 무슨 뜻일까?

  • 색채 · 재료학

Permanent는 무슨 뜻일까? 천연 유기 염료는 색이 화려하지만 자외선에 견디는 힘이 약하다. 20세기 이후에 합성 염료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였는데 퇴색력을 보완하는 염료기술도 매우 발전하였으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합성염료인 아조계 염료이다. 이 ...

물감 색채명에 붙은 Tint와 Hue는 무슨 뜻일까?

  • 색채 · 재료학

색채학에서 Tint는 무슨 뜻일까? 색채를 연구하다 보면 Tint라는 단어가 자주 나온다. 색채학에서의 틴트는 엷은 빛깔의 뜻으로 색채의 배합, 색조에서 색의 농담을 나타낸다. 즉 검정에서 흰색으로 진행되는 단계적인 명도 밝기를 의미한다. 명암의 음영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