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만한 자료들을 올려두었습니다.
안료를 물과 혼합하여 그리는 회화방법은 선사시대부터 동서양에서 전래되어 왔으나 그 기원은 정확하지 않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알타미라(ALTAMIRA)나 라스코(LASCAUX) 동굴벽 화가 천연안료를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였음을 불 수 있다. 즉, 흙에서 추출한 황토색이나 철분이 많은 흙에서 황갈색을 구했으며 불에 타버린 숲에서 카본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음을 불 수 있다.
고대 이집트(B.C. 4,500년경)의 화공들은 프레스(Fresco)기법을 사용하여 무덤의 내부를 장식하였다. 수성회구의 기원을 말한다면 고대 이집트의 벽화와 파피루스(Papyrus)에 그려졌던 그림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격적인 수성회구의 발전은 프레스코기법이 다양하게 발전한 15 - 16C 플로렌스 화가들의 작품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이탈리아의 미켈 란젤로가 그린시스틴 성당의 천정화를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넓은 의미에서 수용성회 구 사용의 기초가 되는 것이라 하겠다. 넓은 의미에서 물을 사용하는 그림을 수채화라고 한다면 동양화나 프레스코등은 많은 것이 수채화의 한 영역이라 할 수 있지만 현 시대적 상황에서 살펴보면 미술사에서도 따로 정립
되어 있기 때문에 수채화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수채화의 본격적인 발전은 동양에서 종이의 제조기술이 유럽에 전해지며 수채화로 확립되었는데 최초의수채화가로는 1,400년대의 듀러가 있으며 그 후 한스 홀베인에 의해 수채화의 기초가 다져졌다고 하겠다. 17C에 들어서면서 반 다이크에 의해 투명 수채화가시작되는데 18C에 와서는 글리세린을 첨가한 수채회구가 개발되 고 와트만지가 제조되어 폴샌드비와 존 코젠스로 시작하여 윌리암 터너에 이르러영국의 투 명 수채화가 최고조에 이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