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국내작가들의 작품들을 소개 하는 곳입니다.

선생님 2009-11-05 01:00 조회 수 4668 댓글 수 1


 

 

 

빛 에너지로의 몰입 가시적이지만 실체가 없는 빛을 화면에 담을 수 있을까?

이것은 이미 ‘외광파’(Plein air) 화가들이 집요하게 탐구했던 주제이다. 그들은 색채와 자연을 빛이라는 개념으로 파악함으로써 찰나의 시각적 감각을 표현하고자 했다. 도성욱 역시 자연을 해석하는 유일한 요소를 빛으로 집약시킨다. 오로지 빛의 진동을 화면 안으로 환원시키려는 시도에 천착하는 작업 태도는 작가를 완전한 몰입의 세계로 인도한다. 미세한 바람에 파르르 떠는 나뭇잎들 사이로, 숲 아래로 흐르는 도랑의 수면 위로 빛들이 반사되면서 찬란한 스팩트럼의 장관이 펼쳐진다. 기념비적인(monumental) 파노라마 화면에서 빛은 그 자체로 비물질화된 것일 뿐만 아니라 빛이 접촉하는 물질을 비물질화시키는 효과도 창출한다.

가변성을 본질로 하는 현상계의 영구적인 불변성을 작가는 화면에서 빛으로부터 유출되는 비물질적인 영혼의 울림으로 표현한다. 부동적인 화면에서 어떻게 하면 이 빛의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을까? 부동성을 통해서 움직임을 창조한다는 역설을 작가는 빛의 함축적인 에너지 개념으로 풀이한다. 자연에서 빛의 흐름을 단숨에 끌어안으며 그 감동을 기억에 저장하고, 그 핵심 에너지를 다시 화면에 고정시킨다.

화면 위로 순간적으로 포착된 빛의 운동은 작품 자체에 내재한 에너지로 표출되면서 영원한 진동을 계속하고 있다. 끝없이 움직이는 빛 에너지가 함축된 화면은 강렬하면서도 은은한 힘을 발산하면서 관람자의 망막을 유혹하고 자극하면서 감각에 불을 당긴다. 이러한 효과는 실내를 어둡게 하고 오로지 작품 위로만 조명을 비추는 전시 공간에서의 조명 효과로 인해 더욱 고조된다. 이리하여 정체된 상태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빛 에너지의 실체가 확실히 드러나게 된다. 화면 위에서 반짝이는 빛들을 마치 촉각적으로 감지하는 듯한 황홀한 감정은 우리로 하여금 빛 에너지에 몰입하게 만든다.

 

 

 

 

 


태고의 풍경으로의 초대 빛과의 접촉으로부터 시작되는 도성욱의 풍경은 우리의 먼 기억 안에 각인되어 있는 때묻지 않은 가장 순수한 풍경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레미니선스(reminiscence)의 공간이다. 빛과 자연의 조화와 그 둘의 상호침투 속으로 몰입하면서 작가는 여명의 순간에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는, 그 어느 누구의 침범도 받은 적이 없는 한 처녀림을 창조한다. 관람자는 이 순수한 이미지 속으로, 마치 꿈에서 본 듯한, 혹은 인류의 시작과 더불어 집단적으로 기억되어온 원형(archetype)의 이미지와 같은 친숙하면서도 신비한 공간으로 서서히 빠져들어 간다. 무한히 확장될 것 같은 넓은 화면을 가르는 나무들이 표현하는 대담한 수직성은 무한한 숭고(崇高)의 감정마저 야기시킨다. 이 수직적 차원은 작품의 축인 동시에 미의 축이 된다. 이러한 수직성에 의한 화면은 프래그넌스(pregnance), 즉 지각과 기억에 강하게 호소하는 평면이다. 한편, 점점 희미해지는 수직성의 미묘한 변화는 공기와 안개의 흐름을 느끼게 하면서 우리의 시선을 안으로 유도하는 무한한 깊이이기도 하다. ‘외광파’ 화가들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충동적인 붓놀림과 현란한 색채와는 달리, 도성욱의 화면에서는 색채가 절제된 단색 톤의 은은한 분위기로 나타나고 붓의 자취 또한 정제되어있다. 이 침묵의 공간에서 그가 그토록 갈망하는 빛의 떨림이 지속되고 때로는 섬광이 발산한다. 이 섬광의 순간에 작가는 어떤 창조의 계시를 받고 있을 것이다. 빛과 숲이란 가시적인 요소를 통해서 작가는 명상과 관조의 세계를 창조한다. 작가는 눈으로 자연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그 오묘함을 감지하면서 서정적이고 시적인 공간을 창출해낸다. 이 명상의 공간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움직이는 것과 멈춰있는 것, 눈과 마음, 침묵과 소리, 순간과 영원 사이의 변증법이 지속되는 초월의 시공간이 된다.

 

 

 

 


빛을 에너지의 개념으로 환원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는 한 도성욱의 작업은 결코 가벼운 감각의 단계에 머무르지 않고 심오한 정신적인 차원을 소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를 자극하는 현실의 유혹들로부터 초연할 줄 아는 자세를 가질 때, 그리고 오로지 빛만을 추구하는 현재의 겸허한 자세를 버리지 않을 때, 그는 명멸하는 수많은 별 가운데 영원히 빛나는 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 1

No profile

우와,,어떻게 이렇게 그릴수 있지?신기하네요..저도 빛과 비와 어둠...이런 그림을 잘 표현하고 싶어요,,아직은 못하지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규홍

이규홍 빛과 음영, 사실과 추상의 이중주 신항섭(미술평론가) 그림은 화가 자신의 세계관 및 인생관의 한 표현이다. 그림을 통해 세상과 인간 삶의 의미를 통찰하고 거기에 자신의 견해를 덧붙인다. 말하자면 그림은 화가 자신의 세상 및 삶에 대한 입장 천명...

김기택

김기택 작가노트 나의 작품은 동양의 정신에 기초를 두고 서양의 기법과 재료로 표현하고자 한다. 사소한 풀 한 포기 나뭇가지 하나에도 자연의 이치가 있고 도가 깃들어 있듯이 동양의 전통적 사유구조를 나의 작품에 드러내어 “사생의 정신과 사실의 기법”을...

김종언

김종언의 작업은 언뜻 보기에 자연주의 화풍으로 보이겠지만 진지한 작가주의가 들어가 있으며 여느 풍경처럼 화려하지는 않지만 그 만의 자의식으로 내면을 탐미하고 있는 색깔 있는 작업이다. 눈에 비춰지는 현상적인 이미지 이상으로 시적이면서 서정적인 ...

정재용

신화를 만나다 호라티우스의 “시는 그림처럼”이라는 말을 떠올리지 않더라도, 때로 하나의 그림이 수많은 단어보다 대상을 훨씬 더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대상이 갖고 있는 이미지와 그로 인해 유발되는 많은 이야기를 전달한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알...

한국의 로트렉 - 손상기

■ 화가 손상기 [孫詳基, 1949~1988] 한국의 화가. 초기에는 자연적 이미지를 통해 자전적 이야기를 직설적 또는 역설적으로 표현하였으나 《공작도시》연작 이후 사회와 역사 문제로 작품 세계를 확산시켰다. 1949년 전라남도 여수에서 태어났으며, 원광대학...

김환기

  • 조회 수 4244

수화 김환기 선생님은 한국 추상미술의 제1세대로서 세련되고 승화된 조형언어로 한국적 서정주의를 바탕으로 한 고유의 예술 세계를 정립하여 한국을 비롯, 현대 미술의 중심지인 파리와 뉴욕으로까지 그 이름을 알리신 분입니다. 그는 1930년대 후반 경부터...

사석원

사석원, 캔버스에 유채, 60.5* 72.5센티미터 "저 멀리 밤하늘에는 작은 별들이 총총하고 당나귀는 섬에 올라서서 장미꽃을 지고 있지요. 당나귀는 몸집이 작지만 고집이 세고 힘도 세서 척박한 곳에서 잘 삽니다. 그놈은 괜히 힘이 센 바람에 무거운 짐을 자...

이우환

미술 동·서양 경계를 넘다 - 화가 이우환 이우환과 작업실 한 구석 테이블에 마주앉았다. 그는 테이블 위의 대학노트를 펼쳐 보여 주었다.캔버스에 점 하나를 그릴 때도 그는 대학노트에 사각형을 그린뒤 그 사각형 속에 점찍을 위치를 미리 표시해 본다. 수...

박항률 - 고요한 눈을 지닌 화가

  • 조회 수 4902

고요한 눈을 지닌 화가 - 박항률 글 (김성희) 세상살이와 왠지 두터운 벽을 쌓고 살아가는 듯한 작가 박항률. 늘 말이 없는 그의 표정은 마치 깊은 산 속을 조용히 흐르는 맑은 시냇물 줄기가 오랜 세월의 인고 끝에 큰 바위를 뚫어버리는 것 같은 힘으로 우...

도성욱

빛 에너지로의 몰입 가시적이지만 실체가 없는 빛을 화면에 담을 수 있을까? 이것은 이미 ‘외광파’(Plein air) 화가들이 집요하게 탐구했던 주제이다. 그들은 색채와 자연을 빛이라는 개념으로 파악함으로써 찰나의 시각적 감각을 표현하고자 했다. 도성욱 역...

이창규 - 빛 바람

“고요 속에 잠겨있는 대나무 숲은 끊임없는 내적인 움직임을 통해 우리의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시킨다. 이창규는 대나무라는 단일한 소재가 일으킬 수 있는 주제의 왜소함을 여백을 활용하는 기법을 통해 관조와 사유라는 철학적 주제로 승화시킨다. 여름이 ...

이정웅 - 사실과 추상

  • 조회 수 3463

드높은 하늘 아래 수려한 물줄기 아침햇살 아름다운 그 곳에서 어디로 향하는가! / 떨어지는 물방울에 일렁이는 고요의 움직임은 눈앞에 보이는 물줄기가 아니렷다! / 고요히 떨리는 물줄기 다시금 강약의 운율을 품은 물방울로 화해 높이 솟은 가을 하늘 아...

윤병락

몇 년 전부터 윤병락은 지칠 줄 모르는 열정으로 사과를 그린 탓에 ‘사과 작가’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필자가 작업실을 방문했던 날에도 작가는 사과들이 넘치는 캔버스에 둘러싸여 있었다. 젊은 여인의 탱탱한 가슴 같은 그의 사과는 이브의 사과처럼 관람...

이목을 (李木乙) - 空

현대적인 조형개념으로 탈바꿈한 영특한 존재로서의 사과 예술창작이란 전인미답의 세계를 탐색하는 일이다. 조형언어로 삼라만상을 표현하는 회화 역시 이전의 누구와도 다른 조형공간을 궁구하게 된다. 그렇다면 눈에 보이는 사실을 가감 없이 재현하는 사...

이우림

  • 조회 수 2461

캔버스 안에 웅크려 앉아있는 어느 화가 개인적으로 (해석의) ‘여지’가 많은 작품을 선호한다. 작품의 어느 부분이 나의 시각적 혹은 감성적 레이더에 포착되는 순간 발걸음을 멈추게 하는 동력은 바로 그러한 ‘여지’라 할 수 있다. 스펙터클을 지향하는 요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