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국내작가들의 작품들을 소개 하는 곳입니다.

운영자 2009-12-07 21:17 조회 수 4244 댓글 수 0


 

수화 김환기 선생님은 한국 추상미술의 제1세대로서 세련되고 승화된 조형언어로 한국적 서정주의를 바탕으로 한 고유의 예술 세계를 정립하여 한국을 비롯, 현대 미술의 중심지인 파리와 뉴욕으로까지 그 이름을 알리신 분입니다.
그는 1930년대 후반 경부터 가장 전위적인 활동의 하나였던 추상미술을 시도, 한국의 모더니즘을 리드하였으며 현대적이고 절제된 조형언어를 바탕으로 이룩한 그의 정서세계는 50년대에 이르러 산, 강, 달 등 자연을 주 소재로 더욱 밀도 높고 풍요로운 표현으로 한국적 정서를 아름답게 조형화 하였습니다.
그의 예술은 56년부터 59년까지 약 3년 간의 파리시대와 상파울로 비엔날레에서 수상한 해인 63년부터 작고한 74년에 이르는 뉴욕시대에 가장 왕성한 활동을 보여줍니다.
파리시대와 서울시대를 포함한 50년대까지 그의 예술은 엄격하고 절제된 조형성 속에 한국의 고유한 서정의 세계를 구현하였으며, 60년대 후반 뉴욕시대에는 점, 선, 면 등 순수한 조형적 요소로 보다 보편적이고 내밀한 서정의 세계를 심화시켰습니다.

 

 

 

김환기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Universe_면에 유채_254×254cm_1971

 

 

 

 

 

 

 

 

 

 

 

전라남도 신안군 기좌면(현 안좌면)에서 출생하다
동경 일본대학 예술학원 미술부 입학하다
「아방가르드」조직에 참여, 후지다 쓰구지와 도고 세이지에게 지도 받다
제1회 개인전, 아마기 화랑, 동경
  귀국
서울대학교 예술학부 미술과 교수 역임하다
유영국, 이규상 등과 「신사실파」조직
  제 1회 신사실파 전시, 화신화랑, 서울
부산으로 피난, 해군종군화가가 되다
홍익대학교 교수와 학장 역임하다
파리에 도착
  제6회 개인전, M. 베네지트 화랑, 파리
제10회 개인전, <봄> <하늘> 등 출품, 앵스티튀 화랑, 파리
귀국
  제11회 개인전, <산월> <달밤의 사슴> <영원의 노래> 등 출품,
  중앙공보관화랑, 서울
제7회 상파울로 비엔날레 한국대표로 참가 회화부분 명예상 수상,
  <달밤의 섬> <여름 달밤> <운월> 등 출품, 상파울로, 브라질
  뉴욕에 도착
J.D.록펠러Ⅲ 재단에서 수여하는 지원금을 1년간 받게 되다
  제15회 개인전, 아시아 하우스 화랑, 뉴욕
제16회 개인전, 제8회 상파울로 비엔날레 특별실에 초대됨, 브라질
한국일보 주최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 대상 수상하다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출품, 경복궁 미술관
제21회 개인전, <하늘과 땅> <10만개의 점> 등 대작 출품,
  포인덱스터 화랑, 뉴욕
제22회 개인전, 슈레브포트 반웰미술관, 루이지애나
  뇌출혈로 별세, 향년 61년 5개월, 뉴욕
김환기, 1971, Bear Mountain, New York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규홍

이규홍 빛과 음영, 사실과 추상의 이중주 신항섭(미술평론가) 그림은 화가 자신의 세계관 및 인생관의 한 표현이다. 그림을 통해 세상과 인간 삶의 의미를 통찰하고 거기에 자신의 견해를 덧붙인다. 말하자면 그림은 화가 자신의 세상 및 삶에 대한 입장 천명...

김기택

김기택 작가노트 나의 작품은 동양의 정신에 기초를 두고 서양의 기법과 재료로 표현하고자 한다. 사소한 풀 한 포기 나뭇가지 하나에도 자연의 이치가 있고 도가 깃들어 있듯이 동양의 전통적 사유구조를 나의 작품에 드러내어 “사생의 정신과 사실의 기법”을...

김종언

김종언의 작업은 언뜻 보기에 자연주의 화풍으로 보이겠지만 진지한 작가주의가 들어가 있으며 여느 풍경처럼 화려하지는 않지만 그 만의 자의식으로 내면을 탐미하고 있는 색깔 있는 작업이다. 눈에 비춰지는 현상적인 이미지 이상으로 시적이면서 서정적인 ...

정재용

신화를 만나다 호라티우스의 “시는 그림처럼”이라는 말을 떠올리지 않더라도, 때로 하나의 그림이 수많은 단어보다 대상을 훨씬 더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대상이 갖고 있는 이미지와 그로 인해 유발되는 많은 이야기를 전달한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알...

한국의 로트렉 - 손상기

■ 화가 손상기 [孫詳基, 1949~1988] 한국의 화가. 초기에는 자연적 이미지를 통해 자전적 이야기를 직설적 또는 역설적으로 표현하였으나 《공작도시》연작 이후 사회와 역사 문제로 작품 세계를 확산시켰다. 1949년 전라남도 여수에서 태어났으며, 원광대학...

김환기

  • 조회 수 4244

수화 김환기 선생님은 한국 추상미술의 제1세대로서 세련되고 승화된 조형언어로 한국적 서정주의를 바탕으로 한 고유의 예술 세계를 정립하여 한국을 비롯, 현대 미술의 중심지인 파리와 뉴욕으로까지 그 이름을 알리신 분입니다. 그는 1930년대 후반 경부터...

사석원

사석원, 캔버스에 유채, 60.5* 72.5센티미터 "저 멀리 밤하늘에는 작은 별들이 총총하고 당나귀는 섬에 올라서서 장미꽃을 지고 있지요. 당나귀는 몸집이 작지만 고집이 세고 힘도 세서 척박한 곳에서 잘 삽니다. 그놈은 괜히 힘이 센 바람에 무거운 짐을 자...

이우환

미술 동·서양 경계를 넘다 - 화가 이우환 이우환과 작업실 한 구석 테이블에 마주앉았다. 그는 테이블 위의 대학노트를 펼쳐 보여 주었다.캔버스에 점 하나를 그릴 때도 그는 대학노트에 사각형을 그린뒤 그 사각형 속에 점찍을 위치를 미리 표시해 본다. 수...

박항률 - 고요한 눈을 지닌 화가

  • 조회 수 4902

고요한 눈을 지닌 화가 - 박항률 글 (김성희) 세상살이와 왠지 두터운 벽을 쌓고 살아가는 듯한 작가 박항률. 늘 말이 없는 그의 표정은 마치 깊은 산 속을 조용히 흐르는 맑은 시냇물 줄기가 오랜 세월의 인고 끝에 큰 바위를 뚫어버리는 것 같은 힘으로 우...

도성욱

빛 에너지로의 몰입 가시적이지만 실체가 없는 빛을 화면에 담을 수 있을까? 이것은 이미 ‘외광파’(Plein air) 화가들이 집요하게 탐구했던 주제이다. 그들은 색채와 자연을 빛이라는 개념으로 파악함으로써 찰나의 시각적 감각을 표현하고자 했다. 도성욱 역...

이창규 - 빛 바람

“고요 속에 잠겨있는 대나무 숲은 끊임없는 내적인 움직임을 통해 우리의 무한한 상상력을 자극시킨다. 이창규는 대나무라는 단일한 소재가 일으킬 수 있는 주제의 왜소함을 여백을 활용하는 기법을 통해 관조와 사유라는 철학적 주제로 승화시킨다. 여름이 ...

이정웅 - 사실과 추상

  • 조회 수 3463

드높은 하늘 아래 수려한 물줄기 아침햇살 아름다운 그 곳에서 어디로 향하는가! / 떨어지는 물방울에 일렁이는 고요의 움직임은 눈앞에 보이는 물줄기가 아니렷다! / 고요히 떨리는 물줄기 다시금 강약의 운율을 품은 물방울로 화해 높이 솟은 가을 하늘 아...

윤병락

몇 년 전부터 윤병락은 지칠 줄 모르는 열정으로 사과를 그린 탓에 ‘사과 작가’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필자가 작업실을 방문했던 날에도 작가는 사과들이 넘치는 캔버스에 둘러싸여 있었다. 젊은 여인의 탱탱한 가슴 같은 그의 사과는 이브의 사과처럼 관람...

이목을 (李木乙) - 空

현대적인 조형개념으로 탈바꿈한 영특한 존재로서의 사과 예술창작이란 전인미답의 세계를 탐색하는 일이다. 조형언어로 삼라만상을 표현하는 회화 역시 이전의 누구와도 다른 조형공간을 궁구하게 된다. 그렇다면 눈에 보이는 사실을 가감 없이 재현하는 사...

이우림

  • 조회 수 2461

캔버스 안에 웅크려 앉아있는 어느 화가 개인적으로 (해석의) ‘여지’가 많은 작품을 선호한다. 작품의 어느 부분이 나의 시각적 혹은 감성적 레이더에 포착되는 순간 발걸음을 멈추게 하는 동력은 바로 그러한 ‘여지’라 할 수 있다. 스펙터클을 지향하는 요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