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실기에 관해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 질문 해주세요. 질문글은 되도록이면 비밀글이 아닌 공개를 해주시고 제목은 질문내용을 내포하는 제목으로 해주시면 또하나의 유용한 자료실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처음오셔서 글쓰기 권한이 없을 경우 출석부에 출석 1회 해주세요.
기준 위치를 짙은색으로 잡아주는게 색상 배치를 바꾸거나 색을 추가할때 무리가 없습니다.
윗부분 코너 부분은 작업하고나서 세척할때 상당히 불편한 모양과 위치네요. 배치를 안하는게 나을듯 보입니다.
아래 한색 부분의 색상의 순서는 문제 없어보입니다. 칸을 땡겨서 블루와 그린의 경계를 띄우세요.
색의 조합에서 더 밝은 하늘색이 필요해 보입니다. 예를 들어 홀베인 세루리언블루는 다른 브렌드 동일색상명 물감보다 더 밝은 색상입니다.
밝은 하늘색은 밝은 브라운계열과 혼색했을때 어두운 색끼리 혼색하고 물을 많이 섞는것보다 물질감있고 화사한 저채도의 색을 얻을 수 있습니다.
나중에 적당한 물감을 추후 추가 해서 구성해보세요.
2013-03-04 06:40
라잇레드는 번트시에나 브라운레드, 기타 레드계열의 색상들을 조합해서 대체하는게 더 느낌이 나으니 빼도 됩니다.
짙은색은 각계열의 짙은색을 조합하는게 색상이 더 풍부해 보이니 세피아도 그다지 필요는 없어보이네요.
전반적으로 옐로우, 오렌지, 레드 계열의 색상이 많은데 카드늄레드오렌지와 퍼머넌트 옐로우 오렌지 둘중하나 택일하셔도 상관 없을 듯하고 퍼머넌트로즈와 로즈매더, 크림슨레이크 중에서 만약 뺀다면 퍼머넌트로즈를 빼는것을 추천합니다.
퍼머넌트 바이올렛은 난색계열 색이 많아서 밀려난것 같은데 반대색의 그린과 섞이면 바이올렛의 순수성에 많은 악영향이 될것 같습니다.
뺄것 빼면 자리 생기니까 원위치 하는게 좋을 것 같네요.
울트라마린도 바이올렛따라 위치잡으신것 같은데 그것도 원위치 하시고 세루리언과 피콕블루는 뚜껑까서 명도 다시 확인해보세요. 제조사에 따라 세루리언이 아주 밝은색이기도 한데 어떤 제조사는 그보다 어둡기도 합니다.
더 밝은색을 센터로...
제외된 색상도 튜브에서 바로짜서 쓸수도 있습니다. 만약 더 맘에 들면 교체해서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