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기획의 참신성, 규모, 구상미술 여부등 고려하여 추천





제주도립미술관 <장리석-백수(白壽)의 화필>전 개최

- 제주피난시절 수채화 작업을 포함한 140여점 전시- 



□ 제주도립미술관(관장 김현숙)에서는 2014년 3월 4일(월)부터 5월 11일(일)까지 <장리석-백수(白壽)의 화필>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한국 구상미술의 대가 장리석 화백(張利錫, 1916 ~  )이 구현했던 작품세계와 삶의 여정을 그리는 전시이다. 2005년 제주도립미술관에 기증했던 화백의 작품과 작가 소장품, 아카이브 자료를 중심으로 구성된 이번 회고전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인 1946년작 <방(方)노인상>부터 2000년대 작업까지 70여년에 걸친 그의 작품세계를 총체적으로 고찰해보고자 기획되었다.   


□ 장리석 화백은 1916년 평양에서 출생하여 선전을 통해 미술계에 입문한 이래 현재에 이르기까지 꾸준한 작품 활동으로 한국미술의 지평을 넓혀 온 작가이다. 제7회 국전에서 <그늘의 노인>으로 대통령상을 수상하면서 작가로서의 확고한 입지를 다진 화백은 창작미협전, 목우회, 구상전에 참여하여 당대 화단을 주도했던 서구 모더니즘에 밀려가는 한국구상미술을 지켜내고 발전시켜온 거장이다. 


□ 전시의 각 섹션은 화백의 연대별 대표작품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장리석 화백 작업 의식의 뿌리를 살펴보는 ‘근원’에 대한 이야기에서 출발해, 텁텁한 색과 선이 돋보이는 초기 작업부터 풍요로운 바다의 품을 닮은 해녀 작업, 이북이 고향인 작가의 향수를 그린 망향(望鄕), 향토색 짙은 설경(雪景) 작업에 이르기까지 작가의 일대기가 펼쳐진다. 특히 이번 전시를 위해 그려진 2014년 작 <바다와 소라>는 기존 해녀작업의 연장선이며, 백수를 맞는 화백의 작업을 향한 끊임없는 열정과 작가정신을 확인할 수 있다. 


□ 고향을 떠나 새로운 땅에 정착한 이산의 작가, 동시에 그 누구보다 풍요롭고 진실한 삶을 화폭에 구현했던 화백의 작업이 치열한 경쟁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의 삶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그동안 제주도립미술관의 대표 컬렉션인 장리석 화백 작품의 중요도에 비해 제주미술사의 맥락에서 빗겨있던 그에 대한 담론이 이 전시를 통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 <장리석-백수(白壽)의 화필>전의 전시개막은 3월 4일(화) 오후 4시 제주도립미술관 로비에서 개최되며, 전시연계프로그램으로 장리석 화백에 대한 강연회가 열릴 예정이다. (전시문의 : 064-710-7300)



□ 전 시 개 요


• 전 시 명 : < 장리석 - 백수(白壽)의 화필 >전

• 전시기간 : 2014. 3. 4(화) ~ 5. 11(일)

• 전시장소 : 제주도립미술관 기획전시실, 장리석기념관 

• 전시개막 : 2014년 3. 4(화) 오후 4시

• 작품대여협조: 국립현대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서울시립미술관, 이중섭미술관


  □ 전 시 내 용


- 장리석기념관에서는 장리석화백의 근간이 형성된 1950년대와 서민의 일상과 망향(望鄕)을 테마로 한 1960, 70년대의 드로잉 작업이 선보인다. 그의 시대의식을 엿볼 수 있는 피난시절의 그림들, 1950년 12월 제주도 입도이후에 그려진 제주풍경 수채화들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70년대, 80년대 해녀드로잉, 자화상 연작도 함께 전시되어 장리석 화백의 또 다른 작품세계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기획전시실에서는 화백의 초창기 1940년대 작업부터 그가 50년대에 집중적으로 제작한 서민적 일상 풍경을 소재로 한 대표작들이 전시되어 있다. 70년대 남국의 풍경 작업과 80년대의 남해의 여인 연작들은 화가 자신이 지향했던 이상적인 풍경과 원초적인 생명성을 표현하고 있다. 90년대, 2000년대에 들어서 사실적인 표현에 중점을 두기 보다 뭉특하고 거친 표현주의 기법이 작품 전반에 나타난다.  


** 전시담당 : 학예연구사 강효실(T.064-710-4272)



댓글 1

profile
색감이 독특하네요..
느낌이 좋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시화일률전 (詩畵一律) - 가나아트센터

전시명 - 시화일률 詩畵一律 주최 - 한국현대시박물관, 계간시와시학 기획 - 김재홍 / 윤범모 장소 - 가나아트센터 | 서울시 종로구 평창동 97 가나아트부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1405-16 노보텔 앰배서더 4층 일정 - 서울 2011. 1. 14. 금 – 2. 6. 일 ...

훈데르트바서 한국특별전

훈데르트바서 한국특별전 Hunderwasser 2010. 12. 05 - 2011. 03. 15 예술의 전당/디자인 미술관 ‘착한 소비’가 새로운 기부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착한 소비’는 소비 활동을 통해 기부활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참여형 기부’를 말한다. 판매 ...

천경자의 혼 (상설전) -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2층

지난 1998년, 국내화단의 대표작가인 천경자 화백이 1940년대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제작한 작품 93점을 서울시립미술관에 기증하였습니다. 이러한 작품 기증을 기념하고자 2002년 5월부터 개최하고 있는 상설전 『천경자의 혼』은 보다 다양한 천경자 화백...

문봉선展 / Moon Bong-Sun /

問梅消息문매소식 문봉선 / 매화 / 친수묵채색 / 145x299cm / 2010 / 관람시간: 오전 10시 00분 ~ 오후 7시 00분 일요일 휴관 Tel. -- 공아트스페이스 Gong Art Space (110-300) 서울 종로구 관훈동 198-31 Tel. 02-735-9938 www.gonggallery.com 매화는 천하...

겨울, 그리고 봄 / 흑자, 검은 빛을 머금은 우리 옛 그릇

○ 전 시 명 : 겨울, 그리고 봄(3F) / 흑자, 검은 빛을 머금은 우리 옛 그릇(2F) ○ 전시유물 : 서화, 도자기, 나전 등 / 고려 및 조선시대 흑자 ○ 전시기간 : 2010년 12월 7일부터 2011년 3월 31일까지 ○ 전시장소 : 호림아트센터 내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제2,...

아름다운 우리 옛 그림

아름다운 우리 옛 그림 1부, 한원미술관 소장품전 | 2010.12.30 - 2011.2.6 2부, 남정예 민화전 NAM JUNG YE 南貞禮 | 2011.2.9 - 2011.2.28 아름다운 우리 옛 그림전에 부쳐 박옥생| 한원미술관 큐레이터, 미술평론가 남정예 민화전-현대 민화의 창작에 관한 ...

김준권 목판화전

먹으로 찍어낸 허정虛靜의 산수미山水美 김준권의 2007~2010년 수묵목판화 이태호李泰浩 |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1. 지난 8월 중순에 김준권金俊權 선생의 한국목판문화연구소를 방문했다. 충청북도 진천군鎭川郡 백곡면栢谷面 사송리沙松里 두주마을에 ...

혼을 담은 색의 작가 윤재우전

1. 기획의도 광주시립미술관(관장 박지택)은 혼을 담은 색의 화가 <윤재우>전을 개최합니다. 광주를 예향이라 부르듯이 역량 있는 많은 작가들이 광주를 기반으로 활동을 하였습니다. 윤재우 화백은 초창기 광주사범학교, 조선대에서 화가로서 미술교육자로서...

김은지 개인전

김은지 개인전 일상, 그들의 존재 『 경포바다 1, oil on canvas, 116.8cm x 91cm, 2010 』 일상, 그들의 존재 2011 갤러리 라메르 신진작가 창작지원 전시 작가로 선정된 김은지 작가의 개인전이 2월 16일부터 22일까지 인사동 갤러리 라메르에서 열린다. 갤...

서울 동산방 화랑 조선후기 회화전

옛 그림의 운치, 오래도록 머무는 마음 조선 중기의 화가 탄은 이정의 ‘니금세죽’. 한 폭의 대나무는 잎 이 위로 뻗어가는 모습을, 다른 한 폭에선 밤비를 맞아 아래로 처 진 댓잎을 표현했다. 이번 전시는 조선 후기의 작품을 조망하고 있 으나 임진왜란 이전...

생명의 긍정과 환희의 풍경―박구환의 판화전

생명의 긍정과 환희의 풍경―박구환의 판화 박구환의 판화에는 날카로운 칼맛이 부드러운 선과 색채 속에 갈무리 되어 있다. 목판화 앞에서 이처럼 섬세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갖게 되는 것은 유별난 경험이다. 그러나 우리는 섣불리 그의 작업이 그처럼 부드럽...

펜화에 담는 ‘한국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 김영택전

■ 작가노트 펜화에 담는 ‘한국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 조선 백자 그릇에 만든 이의 낙관이나 서명이 있으면 무조건 가짜랍니다. ‘내 작품이니 멋지게 만들겠다.’ 는 욕심을 부리지 않던 조선 장인의 특성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것을 ‘무아(無我)의 미’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