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동영상강좌나 자료 글 등에서 등장하는 단어들에 대한 뜻 풀이를 모아 두었으며 사전적 의미와 다를 수 있습니다.

김동원 2009-10-07 12:09 조회 수 1631 댓글 수 0

정물화(still life)

과일, 꽃, 집기, 소지품등 스스로의 의지로 움직이지 못하는 물체들을 배열해 놓고 그린 그 림. 용어 자체는 네덜란드 어에서 유래했으나 17세기 중반까지는 사용되지 않았던 말로, 단 지 움직임이 없는 자연의 모습을 의미한다.

고대의 것으로는 폼페이의 벽화와 로마의 모자 이크에서 경탄할 만한 수준의 정물화를 찾아볼 수 있다.

중세 미술에서는 인간에 대해서만 관심을 두었기 때문에 정물화가 발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같은 시기의 동양의 화가들은 식 물·새·곤충들의 가리워진 삶에 대한 아주 날카로운 이해를 보여주었다.

정물화는 네덜란 드에서 성행했으며 17세기의 루벤스, 브뤼겔, 렘브란트 등이 대표적이다. 독립된 정물화의 명칭을 가지게 된 것은 18세기 네덜란드의 학자 호우브라켄이 이름지은 것이 처음이며, 샤 르뎅에 와서야 정물화가 고유한 성격을 지닌 예술의 하나로 격상되었다. 정물화는 생활의 기록이며 그리는 사람의 마음에 따라서 서민의 생활, 또는 왕후의 생활을 전할 수 있고 또 심상을 정물에 담아 표현할 수도 있다.

모네와 르노아르 같은 인상주의 화 가들의 작품은 질감에서 오는 감각적인 매력에 의존했으며 회화 구성상의 주제로서 조형 이 론을 실천한 세잔느의 작품의 성과로 이 회화의 근대성이 발생했다. 정물화는 그림을 시각 적인 일화나 어떤 외부 자연물의 재현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형태와 더불어 20세기 의 예술 사조에서 가장 특징적인 장르가 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58 보색대비 file 3567
57 블렌딩(blending)기법 file 2733
56 기하도형 2486
55 백런 (Backrun) file 2385
54 아카데미즘(academism) 2255
53 보색 file 2143
52 고유색(固有色) local colour(영) 2111
51 자연물(自然物) 2068
50 그러데이션 2007
49 색조 [ tone , 色調 ] file 1985
48 교차광 1916
47 바니시 (varnish ) 1834
46 명암 1820
45 바디컬러 (body color ) 1741
44 대비 1697
43 모사[copy] 1651
42 색채 감정(color feeling) 1644
» 정물화(still life) 1631
40 비 구 상 (non-figuratif ) 1574
39 변형 (transformation ) 1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