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만한 자료들을 올려두었습니다.

운영자 2011-01-09 03:25 댓글 수 0

색상의 진하고 엷음을 나타내는 포화도()라고도 하며, 아무것도 섞지 않아 맑고 깨끗하며 원색에 가까운 것을 채도가 높다고 표현한다. 가령 칸나꽃의 빨강과 팥의 빨강은 비슷한 명도()를 가지지만 칸나 쪽이 훨씬 선명하며, 따라서 채도가 높다고 한다. 채도는 스펙트럼색에 가까울수록 높아지며, 한 색상 중에서 가장 채도가 높은 색을 그 색상 중의 순색이라 한다. 흰색과 검은색은 채도가 없기 때문에 무채색이라 불린다. 


 

 

위 내용은 사전적인 의미의 채도이다. 사람들이 많이 햇갈려 하는 것이 수채화에서 물만 섞어 엷게 칠하면 채도가 낮아질까?

  

첨부 그림을 보시면 숫자 1과 2는 혼색을 한것이다. 적색에 적갈색을 섞은것이 1번, 적색에 청색을 섞은것이 2번이다. 이것은 사전적인 의미를 이해했을때 쉽게 채도가 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3번은? 

수채화에서 3번 처럼 되는 경우는 물을 섞을 경우로 볼수 있다. 만약 유화라면 흰색을 섞었으니까 당연하게 채도가 떨어졌다고 이해하는데 수채화의 경우에서는 많이들 헷갈려 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수채화에서 원색에 다른색이 혼합되지 않았는데 채도는 그대로 여야 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있었는데 그것은 종이의 바탕색인 흰색을 간과한 것으로 발상의 전환으로 종이의 색도 수채화에서는 물감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결론은 수채화에서 물을 섞어 옅어지면 채도가 떨어진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많이 헷갈리는 채도의 개념

색상의 진하고 엷음을 나타내는 포화도(飽和度)라고도 하며, 아무것도 섞지 않아 맑고 깨끗하며 원색에 가까운 것을 채도가 높다고 표현한다. 가령 칸나꽃의 빨강과 팥의 빨강은 비슷한 명도(明度)를 가지지만 칸나 쪽이 훨씬 선명하며, 따라서 채도가 높다고...

수채화와 유화의 채색순서는 왜 다른가?

  • 미술 이론

수채화는 밝은색부터 먼저 채색하고 점점 어두운색으로, 유화는 어두운 색부터 점점 밝은색 순서대로 보통 채색하는데 이렇게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단 채색을 할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하는데 가장 시간과 공이 덜드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어두운 색...

붓으로 만들어지는 모질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자.

화가의 기법이 천차만별이듯이 그림붓도 사용되는 털의 종류, 모양 등에 따라 많은 타입이 있다. 또 그 평가도 화가의 기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뉜다. 그 미묘한 요구를 폭넓게 만족시키는 붓만들기는 오랜 역사에서 길러진 장인(CRAFTSMAN)의 손에 의한 것...

조형요소 설명 (점, 선, 면,형, 명암,색, 질감, 공간)

  • 미술 이론

1. 점 : 이론상으로 존재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로, 모든 형태의 근원이자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연속적인 점은 입체가, 방향감, 동세를 느끼게 해 준다. 2. 선 : 점이 모여서 이루어지는 선은 사물의 윤곽을 나타내기도 하고 공간을 구분하며 때로는 덩...

그림을 그리기까지 무엇을 해야 할까?

  • 미술 이론

1. 주제를 정하고 그 주제를 나타낼 소재를 찾는다. 2. 소재가 정해지면 무엇으로 그릴지를 정한다. 수채화로 그릴지 유화, 혹은 드로잉으로 표현할지를 정한다. 3. 어떠한 도구로 그릴지가 정해지면 주제에 맞는 화면의 크기와 가로세로 비율을 정하고 준비...

색에 따른 빛 반사율표

반사광을 좀더 이론적으로 설명할수 있는 자료입니다. 예를 들어 정물화의 바닥천의 색깔에 따라 올려진 물체에 반사되는 빛을 그림으로 표현하는데 이해을 돕기위한 자료로 활용할수 있을것 입니다. 표를보면 채도가 가장 높은구간이 반사율이 18퍼센트군요....

거장을 낳은 ‘우울한 뇌’…‘예술가와 우울증’

거장을 낳은 ‘우울한 뇌’…‘예술가와 우울증’ 피카소는 화가였던 아버지와의 갈등 때문에 공격적인 성격을 갖게 됐고 우울증까지 나타났다. 이런 경험으로 그의 작품에 절단된 신체가 등장하거나 무겁고 어두운 느낌이 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동아일보 자료 사...

천재와 상상력

  • 미술 이론

천재와 상상력 김옥렬 천재(genius)는 그 어원에 따르면 원래 남성의 생식력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창조적 생명력을 상징하는 말이었다. 그 후 의미가 변해서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따라다니며 사람의 운명을 이끌어주는 수호신을 뜻하는 말이 되고, 현재에...

그림을 이해하는 법

  • 미술 이론

그림을 어떻게 보죠? 전문가가 아니고서는 한편의 그림을 제대로 읽어내기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림이란 것이 다보여주는 듯해도 숨겨놓은 것이 너무 많은 탓이다. 그 그림을 그린 화가가 살던 시대의 교양이나 상징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한폭의 그...

빛(light)에 대하여

-빛(light) 조형예술에 있어서 빛이란 사물의 외관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빛은 암흑 속에 밝혀진 손전등이나 촛불처럼 빛자체의 존재를 드러내기 위한 조건이 아니라면 그 방향성을 가지고 확산되는 물리적 성질상 단독으로 존재하는 일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