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Skip Navigation

MobileMobile(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도 동영상 강좌를 보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는 모바일 레이아웃이 적용되어 쉽게 메뉴를 통해서 접속 하실 수 있고 태블릿PC에서는 이곳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간으로 수강회원에 한하여 무료로 수강 하실 수 있습니다.

수강등록


3G.jpg



 

물테이프란 그림을 표구할때 주로 쓰이는 한쪽면에 물을 바르면 접착력이 생기는 테이프인데 우표의원리와 같다고 볼수 있다. 시중에서는 구하기가 쉽지않은거라 언급을 하지 않았는데 검색해보니 인터넷으로 구입할수도 있어 강좌 팁으로 제작 하게 되었다.  

 

 

 

 

먼저 수채화지를 물에 5분이상 담궈놓고 물테이프를 네변에 고정할수 있는 적당한 크기로 잘라 놓는다.

   

11.jpg

물에 담궜던 수채화지를 살짝 털어 흐르는 물기를 제거해주고 고정할 화판에 놓고 미리 잘라놓은 물테이프를 약간 둥글게 쥐고 백붓으로 접착성분이 있는 면에 골고루 물을 발라준다.

 

 

 

 

 

22.jpg

그런다음 화판과 수채화지가 맞물리도록 붙여준다.

 

 

 

33.jpg

같은 요령으로 네변을 모두 고정해주고 말리도록 하자.

 

 

 

주의 할점은 물테이프로 고정하고 그림을 다 그린후에 수채화지를 칼로 도려낸후 남은 나머지 테이프를 완전히 제거 하기 어려운데 수채화를 할때는 완전히 제거가 되지 않아도 상관없으나 데생을 할때는 화판표면이 고르지 못해서 방해가 될수 있다.

그러니 데생용 화판과 수채화용 화판을 따로 구분해서 사용 하도록 하는것과 데생은 앞면 수채화는 화판의 뒷면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종이를 물에 담그기 전에 스케치를 미리 해놓고 물테이프로 고정한 후 바로 수채화 채색에 들어갈수도 있고, 또한 물테이프를 종이에 바르게 붙이고 싶을때는 미리 자로 1cm정도 안쪽으로 테두리선을 그어놓고, 붙일때 그 선 따라 붙이면 정확하게 붙일 수 있다. 

 


 

800wt.jpg

 

물테이프

List of Articles
1점 투시도법(one point perspective) - 나란히 서있는 평면 file
웨트 인 웨트(Wet in Wet) 기법의 이해 file
노인 그리기(상) file
노인 그리기(하) file
데생용으로 적당한 연필 깍는 법 file
연필깍지를 직접 만들어 보자. file
물테이프(gummed tape)로 화지 고정하기 file
벌어지거나 휘어진 붓모를 복구하는 방법 file
속건제 리퀸(liquin) 사용하기 file
캔버스에 젯소 칠하기 file
캔버스 틀에 천 입히기 강좌 file
크로키(croquis)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