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별로 완성되는 이미지를 통한 그림 강좌 입니다.
쳐진 눈꺼풀과 주름 등이 노인의 특징인데 젊을 때와 어떻게 다른지를 이해하며 스케치한다.
젖어있는 상태의 표면에서 기본적인 색과 톤을 잡아준다.
노인의 피부색은 젊은 사람에 비해 초벌칠에서 노란색을 덜 쓰도록 하여 건조한 느낌이 나도록 한다.
적갈색으로 전체적으로 덩어리를 잡은 뒤 무겁게 무채색으로 어두운 부분을 처리하자.
도포의 반사광이 많이 미치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점점 밝게 처리되어야 하므로 진한 색을 볼 부분 위쪽부터 칠해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갈수록 밝게 처리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기본적인 덩어리와 명암이 잡혔으면 눈, 코, 입 부분을 잡아준다.
노인의 모습을 그릴 때 주름살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앞 과정에서 큰 주름살을 드라이 브러시로 잡아주었고 다음으로 전체적으로 맑은 물을 가볍게 발라주고 피부색을 올려 주는데 색은 일관성 있으면서 변화를 조금씩 주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드라이 브러시와 물을 많이 쓰는 웨트 인 웨트 기법이 어우러져 풍부한 느낌을 얻어낼 수 있다.
바로위 과정에서 완성에 가까운 톤을 얻었으면 말려주고 다시 묘사를 해주도록 한다.
눈은 처져 있는 눈꺼풀을 잘 표현해주어야 하고 코는 비골과 연골의 연결 부위와 하이라이트가 중요하다.
입술은 위아래 경계부분을 중심으로 입술의 주름을 잡아주고 귀는 그다지 신경 쓸 부분은 아니고 크게 음영만으로 처리한다.
이목구비의 묘사가 마무리되었으면 피부의 잔주름들을 표현해보자.
앞에서의 큰 주름들을 기준으로 주름들의 방향성을 잘 관찰한다.
잔주름은 덩어리가 깨지거나 잡아놓은 피부색에 영향이 제한적이어야 하므로 절대 짙은 색으로 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묽게 색을 만들어 붓에 묻혀 물기를 적당히 빼주고 붓 모을 깨트려 드라이브러시 기법으로 데생의 선을 넣듯이 결 방향으로 가볍게 붓 터치한다.
묘사에 치우치다보면 전체적인 조화가 깨질수 있다. 멀리서 보면 어떤 부분이 균형이 맞지 않고 어색한지 쉽게 파악할수 있는데 색과 밀도를 담채로 보완해주고 다듬어 주도록 하자.
수채화 강의 책 집필중 하나 입니다.
절대 불펌입니다. 추후 동영상 강좌로도 제작되었습니다.
동영상강좌로 제작될 예정입니다. 어떤 부분을 더 자세히 알고 싶은지 의견을 내주세요. 그러면 반영을 해서 강좌를 제작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