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만한 자료들을 올려두었습니다.

◎ 각종 용액

1) 휙사티브류(정착제:FIXATOVE)

ㄱ) 파스텔 휙사티브(PASTEL FIXATIVE)

알코올에 특수 합성수지를 여러 종류 배합한 것이다.
인화점 70`C로 화기를 피하여야 하며 독성이 있다. 엷은 유백색의 투명 액체로 휙사티브 보다 정착력은 좀 약하지만 파스텔의 부드러운 화면을 손상하지 않도록 만들어졌다. 사용할 때는 화면에 서서히 스며들 정도로 분사해 주어야 한다.
사용 후에는 마개를 잘 닫고 화기와 어린이들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ㄴ) 휙사티브(FIXATIVE)

분무식 휙사티브(SPRAY FIXATIVE)는 메칠 알코올에 특수한 합성수지와 피막 안정제를 용해한 것이다. 무색 투명한 액체로서 알코올이 없어지면 수지의 얇고 투명한 막이 남게 된다. 이 피막을 이용하여 정착성이 없는 목탄, 연필, 파스텔 등으로 그린 그림을 정착시키는 것이다
금속, 섬유, 가죽 등에도 정착된다.

2) 건성유류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건조하는 것을 말한다.

ㄱ) 린시드 오일(LINSEED OIL)


아마씨(유분 함유량30-40%)로부터 기름을 얻는 것으로 산가 0.2이하로서 겨울에도 뿌옇거나 탁하게 되지 않는 정제도가 상당히 높은 화용액으로서 옛날부터 사용한 대표적인 기름이다. 뽀삐유(POPPY OIL)와 비교하여 건조도가 빠르고 견고성도 좋지만 엷은색을 황변시키는 흠이 있다.

인화점 214`C

ㄴ) 뽀삐오일(POPPY OIL)

양귀비씨(유분함유량40-50%)로부터 얻은 기름으로 산가 1.5이하로 정제도가 높은 화용액으로서 린시드오일과 비교하여 건조가 조금 늦으며 견고성도 떨어지지만 황변이 적어 엷은색에 사용하여도 좋다.
인화점 212`C

ㄷ) 선 치킨드 린시드 오일(SUN THICKENED LINSEED OIL)

선 치킨드 린시드 오일은 린시드 오일을 태양과 물에 장시간 바래서 정제한 끈적거리는 정 도가 꿀과 같은 상태의 기름이다. 재래식 방법을 사용하던 때의 유회구의 가공유로서 스텐드유와는 다르며 분자내에 수산기를 가지고 안료, 회구, 계란의 노른자, 아교 등에 혼합하기 용이하여 이용도가 많다.
기름이 진득하고 산소를 흡수한 상태이므로 빨리 건조하고 광택이 있는 피막이 생긴다. 고점도에 불구하고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며, 덧칠하려는 회구에 혼합하여 사용하면 견고성이 높아지고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ㄹ) 스탠드 린시드 오일(STAND LINSEED OIL)


정제 가열 중합유로서 선 치킨드 오일과 비교하여 건조는 다소 늦지만 바닥칠부터 완성까지 사용된다. 스탠드 오일은 황변이 없으며 회구에 투명성과 윤기를 주며 건후에는 극히 유 연하고 매끄러우며 내구성이 있는 피막을 형성한다.

3) 휘발성 기름

ㄱ) 페트롤(PETROLE)

석유에서 얻은 광물성 정유로서 회화용으로는 장기간 보존하여도 변색이나 점도 증가. 그리고 휘발이 되지 않고 불순물이 남아 있으면 안 된다.
비 점 : 140`C - 200`C
인화점 : 39.5`C

페트롤은 테레핀과 같이 회구에 혼합하여 적당한 유동성(붓의흐름)을 주며 광택의 조정도 가능하지만 많이 사용하면 광택도 없어지고 고착성,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즉, 바닥부 터 덧칠하여 단계적으로 올라옴으로 사용랑을 감소시키며 사용해야 한다. 또 수지류에 대한 용제성이 테레핀 보다 다소 떨어짐으로 혹시 테레핀유를 사용하고 있는 VARNISH류를 PETROLE로 사용하였을 때 수지류가 떨어져 나오며 침천하는 때가 있다. 제작후에는 화면으로부터 서서히 휘산하고 남지 않는다.

ㄴ) 테레핀(TURPENTINE)

소나무 송진의 휘발성 성분을 연소하여 정제한 것이다.
비 점 : 155`C - 170`C산가0.1이하
인화점 : 31.5`C

페트롤에 비하여 용해력이 조금 높고 휘발성도 빠르다. 페트롤은 전부 휘산하는데 비하여 소량의 찌꺼기가 남는다. 공기 중에 일정기간 방치하면 페트롤 보다 휘발성은 낮아지며 찌꺼기와 용해도가 증가한다.

4) 건조제

ㄱ) 시카티브 브랑(SICCATIF BLANG), 시카티브 코트라이(SICCATIF COURTRAI)

회구의 건조를 빠르게 할 때 사용하는 건조촉진제로서 통상 용해유에 혼합하여 사용한다.
혼합량은 10% 이내가 적당하며 시카티브의 혼합비율이 높으면 주름이 생기던지 덧칠한 회구 층이 갈라지기 쉽다. 시카티브 브랑은 특히 담색 회구에 사용하면 좋다. 시카티브 코트라이는 주로 농색회구에 사용한다. 코발트, 망간, 납을 함유한 속건성이므로 과다사용을 피하여야 한다
외관상 액에 농담이 있는 것은 병속에서 기름과 산화 환원의 화학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에 사용할 때 공기와 접촉하면 농색이 되는 현상이기 때문에 품질에는 이상이 없다. 또 침전물이 조금 있는 상태는 건조제를 첨가하여도 사용효과에는 영향이 없다.

ㄴ) 패드 시카티브(PATE SICCATIF)

이 시카티브는 회구의 끈기를 약하게 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빠르게 건조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유변성 알키드 수지와 시카티브 코트라이를 주성분으로 하였으며 회구와의 혼합비율 1/10 이하로 하여야 한다. 그 이상이면 주름이 생긴다.

5) 수지를 포함한 메디움

ㄱ) 그레징 바니스(GLAZING VARNISH)

특수한 합성수지를 석유계 용제에 용해한 농후액이다. 무변색, 투명, 건조성을 가지고 광택이 나는 견고한 피막을 형성한다.
유회구를 투명한 색으로 하여 보색을 최고로 유지하는 목적으로 쓰이는 화용액이다.
그레이징 기법은 오일 페인팅의 기본이며, 오래전부터 화가의 최고 테크닉으로 각종 바니스를 사용하여 왔다. 2색, 3색의 복합된 다른색을 표현하는 중후하고 깊이있는 감각은 원근법과는 또 다른 표현이다. 그리고 톤의 조절 테크닉은 전문가 뿐만 아니라 초보자에도 중요한 표현기법일 것이다.

ㄴ) 펜드로(PEINDRE)

그림을 그릴 때 회구와 함께 사용하는 바니스로서 단마르 수지를 페트롤로 용해하고 소량의
뽀삐오일을 혼합한 것이다.
회구에는 회구마다 특색이 있어 건조 후에 광택이 없어지는 경우도 있어 펜드로를 직접 또는 용유에 소량 혼합하여 사용한다. 단마르 수지가 안료 입자 사이에 들어가서 자외선을 차단시키고 광택을 나게 하며 회구의 견고성을 유지하고 회구가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인화점 29.5`C

ㄷ) 르소르방(LESOLVANT), 페이팅 오일(PAINTING OIL)

특수 가공한 건성유를 같은 량의 페트롤로 배합하여 비중을 맞춘 후 석유계 합성수지와 소량의 시카티브를 혼합한 것이다.
르소르방에는 뽀삐 오일이, 페인팅 오일에는 린시드 오일이 혼합되어 있다.

인화점 : 스로르방 36`C
페인팅오일 42.5`C

ㄹ) 투명 메디움(TRANSPARENT MEDIUM)

유변성 알키드 수지왁스, 규사 페트롤 등을 소량의 건조제에 배합하여 튜브에 담은 고급품이다. 통상 유회구와 혼합하여 사용하다. 건조는 1일 이내며 그림을 그린 표면이 유연하여 말라도 갈라지지 않는다. 고착성이 양호하며 견고성 또한 강하다. 스탠드그라스와 같은 효과도 낼 수 있으며 페트롤, 르소르방으로 용해하여 도자기의 면과 같은 효과도 낼 수 있다. 단, 투명 메디움을 혼합한 화면에 휘발유를 사용하면 떨어질 위험이 있다.

ㅁ) 스트롱메디움(STRONG MEDIUM)

투명 메디움과 비슷하나 처방이나 왁스를 제거했다. 그러므로 성질은 비슷하지만 피막은 엷은 갈색조를 띠고 투명한 광택이 난다. 유회구와 혼합하여 회구의 건조를 촉진시키며 정착성 과 견고성을 높여주고, 갈라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스트롱 메디움을 혼합하여 평탄한 면에 중복하여 칠하였을 때도 유회구가 떨어지는 일은 없다.

ㅂ) 리터춰(룻세 : RETOUCHER)

단마르 수지를 페트롤과 여러 종류의 용제로 용해한 것이며 제작 도중에 광택이 없어진 부분에 사용하여 화면 전체의 색을 균형 있게 하는 바니스로서 타브렉스를 칠할 때와 같은 광택이 난다. 이 바니스는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화면(6개월이내)에 사용한다. 에어졸 리터춰는 특수한 석유계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인화점 : 21`C

ㅅ) 브러쉬 크리너(BRUCH CLEANER)

무색 투명한 석유계의 강한 용제로서 유황성분이 없고 페트롤 이상으로 용해력을 높인 휘발성 용제로서 붓에 브러쉬 크리너가 조금 묻어 있어도 회구에는 영향이 없도록 제조되었다.
간혹 사용하는 석유는 유황등의 불순물이 있어 화면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곤란하다.

비 점 : 147`C - 187`C
인화점 : 27.3`C

6) 그림을 끝낸 후 사용하는 것

ㄱ) 타브렉스(다브로 : TABLEAUX)

특수한 석유계 합성수지를 페트롤과 용해한 바니스다. 타브렉스의 목적은 무색 투명한 피막을 형성하여 자외선을 다소 방지하고 유해가스로부터 보호한다.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며 많은 시간이 지난 후에는 약한 페트롤로 화면의 재용해가 가능하므로 화면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 제작 후 6개월에서 1년이상 경과 후에 타브렉스를 사용하여야 한다. 건조가 느린 회구는 회구층 0.1mm가 완전히 건조되는데 6개월이상 1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7) 화면 세척액(PICTURE CLEANER)

벽에 걸려있는 그림은 먼지, 담배 등의 환경오염과 습기로 인하여 곰팡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픽쳐크리너는 누구나 사용하기 쉽고 사용 후에는 처음 그린 상태의 선명한 화면이 된다.

▶사용법

1) 먼지를 제거한 후 햇볕에 2-3시간 잘 건조시키면 화면에 수분제거와 회구층의 기름이 황변 현상에서 원상 회복된다.

2) 픽쳐크리너를 잘 흔들어서 다섯 배정도의 물과 희석하여 엷게한 후 부드러운 솜 또는 부드러운 붓으로 구석구석을 깨끗이 세척한다.

3) 오염정도에 따라 도중에 원액을 조금 추가하여도 좋다. 일반적으로 오래된 화면은 유분이 적어 회구가 떨어지기 쉬우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4) 페트롤로 다시 세척한다.

5) 하루정도 경과 후에 타브렉스를 사용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아르 브뤼트(Art Brut)

  • 미술 이론

아르 브뤼트(Art Brut) 가공되지 않은, 순수 그대로의 예술 이라는 프랑스어. 1945년 정신 질환을 앓는 환자들의 창작 작품을 조사하던 장 뒤뷔페가 이들의 작품을 지칭한 말로, 미술교육을 받지 않은 이들이 미술 제도 바깥에서 창작을 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

회화적 繪畵的 painterly(영) malerisch(독)

  • 미술 이론

참고 이미지 이임호 作 회화적 繪畵的 painterly(영) malerisch(독) 일반적으로 회화에 관한 사항을 형용사적으로 표현할 때 쓰는 수도 있으나, 미술사학 분야에서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즉 독일의 미술사학자 뵐플린(1984~1945)에 의해 일반화된 표현으로...

재현에서 제시로

  • 미술 이론

재현에서 제시로 리얼리티란 서구미술사의 기본전제이다. 1912년 피카소와 브라크가 꼴라쥬 기법을 통해 회화상의 현실에 실제의 현실을 개입시켰을 때, 회화 예술이 단지 눈속임에 의해 세계를 재현하는데서 벗어나서 실재적 세계를 제시했다. 예술과 생활(비...

미술재료 용어풀이

  • 미술 이론

내구성(내광성, 내열성, 내후성) 내구성은 오랫동안 초기의 색상, 색력을 유지하는 정도를 말하는데 빛에 의하여 생기는 편차를 견디는 정도인 내광성과 열에의한 변화에 대한 내열성, 공기 등 기후조건에 대한 내후성 등을 두루 포함한다. 색채재료에서는 안...

아우라 [ Aura ]

  • 미술 이론

아우라 [ Aura ] 독일의 철학가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1892∼1940)의 예술이론으로, 예술작품에서 흉내낼 수 없는 고고한 '분위기'를 뜻하는 말. 내용 1934년 벤야민의 논문 《기술복제시대의 예술 작품 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Reproduzierb...

알레고리(allegory)

알레고리(allegory) 이 용어는 "다르게 말한다"는 그리의 'allegoria'란 말에서 나온 것으로 이중적 의미를 가진 이야기 유형을 지칭한다. 즉, 표면적인 의미와 이면적인 의미를 가지는 이야기의 유형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두 가지의 수준에서 읽히고 ...

간략한 유화 기법들 소개

  • 유화

알라프리마 기법(alla prima) 이탈리아어로 '처음at first'을 뜻하는 알라 프리마(alla prima)는 한 겹의 칠만으로 그림을 완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기법의 가장 큰 특징은 연필로 그린 간단한 구도의 스케치 이외에 밑그림을 채색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그리자유[grisaille]기법

  • 유화

Children Playing with a Goat, grisaille Jacob de Wit (Dutch, 1695?754) Gift of J. Pierpont Morgan, 1906 (07.225.257) A Female Allegorical Figure, grisaille, 1740?0 Giovanni Battista Tiepolo (Italian, Venetian, 1696?770) Bequest of Lore Hein...

바니쉬의 이해와 사용법

  • 유화

바니시 (Varnish) 미디엄은 작품을 제작하는 도중에 사용하는 데 반해 바니시는 대개 그림이 완성된 후에 화면 보호나 수정 또는 광택, 무광처리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하는 후처리제이다. 화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호 바니시(protective varnish)와 ...

유화에 필요한 각종 화용액 설명

  • 유화

◎ 각종 용액 1) 휙사티브류(정착제:FIXATOVE) ㄱ) 파스텔 휙사티브(PASTEL FIXATIVE) 알코올에 특수 합성수지를 여러 종류 배합한 것이다. 인화점 70`C로 화기를 피하여야 하며 독성이 있다. 엷은 유백색의 투명 액체로 휙사티브 보다 정착력은 좀 약하지만 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