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만한 자료들을 올려두었습니다.
그림을 제대로 감상하려면, 미술사 공부가 꼭 필요한가? | |
기독교나 불교, 영어에 대해 알기를 원할 때 우리는 으레 성경이나 불경, 영문법 책을 집어든다. 사람들 기독교나 불교, 영어에 대해 알기를 원할 때 우리는 으레 성경이나 불경, 영문법 책을 집어든다. 사람들 은 왜 그러한 행동을 취하는 것일까? 그것은 아마 그러한 책들 속에서 우리가 알고자 하는 모든 것들이 일목요연하게 들어 있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일 것이다. 그림에 대해 알고자 할 때 미술사책을 집어드는 이유 도 바로 성경이나 불경을 집어드는 이유와 유사할 것 이다. 미술사 책은 말 그대로 미술에 대한 역사를 담 고 있는 책이다. 이 책에는 약 2만년 전에 그려진 동굴벽화에서부터 현대미술에 이르기까지 미술의 변천사가 시대별, 양식별로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그런데 2만년 간의 미술활동 전부를 기록할 수가 없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들만을 하나의 일관된 체계, 즉 미술사관에 따라 기록하게 된다. 하나의 미술작품을 어느 사관으로 보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뜻으로 해석이 된다. 그러한 사례들을 살펴보자. |
|
엘 그레코는 16세기 매너리즘의 대표적인 작가였다. 그리스 출신의 엘 그레코는 이탈리아에 와서 그림을 배우고 활동을 하였다. 당시 이탈리아의 화가들은 원근법과 해부학, 색채명암법 등을 이용 하여 자연을 사실적인 기법으로 그리고 있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화가들에게 화면은 단순한 천 조각이 아니었다. 화면은 현실을 옮겨다 놓은 또 다른 세계였기 때문에 그것을 표현하기 위해 거리 의 원근을 정확히 재현하는 원근법, 인체의 구조를 정확히 재현할 해부학, 그리고 입체감 나게 물체 를 표현하는 명암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이러한 이탈리아의 분위기 속에서 인체를 기이하게 늘여놓은 엘 그레코의 그림은 이상하기 그지 없었다. 이탈리아의 화단에서 요구하는 원근법이나 해부학적 법칙을 지키지 않은 그의 그림을 보고 당시의 미술 평론가들은 그림의 기초도 모르는 형편 없는 작가라고 맹비난을 하였다. 엘 그레코는 이탈리아에서 작품활동을 계속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는 할 수 없이 이웃 나라인 스페인으로 건 너갔다. 그런데 웬걸 스페인에서 그는 그림을 그려달라는 주문이 밀려 눈코뜰새 없이 바쁘게 지냈 고, 스페인 최초의 대가로서 대접을 받았다. | |
![]() |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것일까? 같은 시기에 한 곳에서는 엉터리 작가 로 취급을 받고, 또 다른 곳에서는 대가로서 인정을 받는 일을 어떻게 설 명할 수 있을까? 그것은 미술을 평가 하는 관점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상업이 발달하고 개인주의 성향이 강 했던 이탈리아와는 달리 당시 스페인 은 유럽으로 진출하려는 이슬람 세력 과 오랜 싸움을 했었고 카톨릭이 사람 들의 정신세계를 지배하고 있었다. 자연 스페인 사람들의 관심은 현실적 인 문제보다는 종교적인 열망이나 종 교적 경외심, 그리스도의 고통, 심판 등에 관심이 컸었다. 이러한 분위기로 인해 스페인 화가들에게는 해부 학이 나 원근법을 이용하여 인체나 풍경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는 일이 중요하지 가 않았다. 대신 엘 그레코와 같이 종 교적인 열망으로 용광로 같이 끓고 있 는 인간의 내면세계를 감동적으로 표 현하는 일이 중요했던 것이다. |
|
참고: 머리로 보는 그림 가슴으로 느끼는 그림/ 도서출판 재원/ 박우찬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