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동영상강좌공개 동영상강좌

공개 동영상강좌 메뉴는 소소한 팁 강좌나 유료강좌 중 선별해서 모아둔 곳으로 모든 방문자에게 개방 되어 있고, 수강등록 하시면 동영상강좌 분류의 모든 강좌를 자유롭게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수강신청 전 자신의 PC나 단말기가 제대로 플레이 되는지 이곳에서 확인 하십시오.

메인화면
수강제도 안내기간정액제 (30일, 60일, 90일)

동영상강좌는 전혀 그림을 배운적이 없어도 가능하도록 기초 선긋기부터 고급까지 100여편이 준비되어 있으며 해당 기간 내 예습과 복습에 제한없도록 모든 강좌를 열람 하실 수 있으며 접속시간또한 제한이 없습니다.

수강등록 하기
공지사항주요공지 확인하세요.

공지 사항에서는 원아트스쿨의 운영중 주요 이벤트나 신규강좌 제작안내, 운영에 따른 추가기능이나 변경사항이 있을때 안내를 하고 있습니다. 아래 공지 바로가기를 통해 공지를 확인 하세요.

공지 바로가기

 

 


미술용으로는 4B를 주로 사용하는데 글씨를 쓰는 HB보다는 단단하지 않기 때문에 끝부분을 너무 날카롭게 깍지는 않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금방 닳기도 하고 심이 무르기 때문에 1.5mm 이하는 쉽게 부러져 버린다. 

그리고 너무 길게 심을 노출시기면 통째로 심이 부러질수 있으니10.2mm 정도가 적당하고 심을 둘러싼 나무 부분은 그에 맞춰서 깍아 주도록 한다.


11.jpg


연필을 깍을때 처음에는 연필심은 다듬거나 깍지 않고 일단 나무 부분을 깍아 적당한 심을 노출시킨다음 연필심을 다듬어 주는 순서로 진행한다.






22.jpg


연필심은 원뿔처럼 직선으로 깍는 것보다는 종모양이 되도록 중간 부분은 어느정도 두께가 있는 것이 힘을 조금이리도 더 안정적으로 줄 수 있는데 작은 차이지만 표현력의 범위를 넓히는 모양이니까 이런 모양을 추천한다.

 

끝부분은 1.5mm 정도로 비교적 날카롭게 깍아서 샤프한 선도 쓸 수 있게 해주고 계속 그리다 보면 끝부분은 닳아서 무뎌지는데 그러면 무뎌진데로 푸근한 선으로 밑톤을 깔아 주거나 부드러운 면을 잡아 주는 것처럼 심의 상태에 따라 적당한 곳에 쓰도록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 20년 전이상에는 심을 길게 뽑고 무디게 쓰는게 주를 이루었는데 표현 력의 폭을 감안한다면 권장할만한 연필 모양이라고 볼수는 없다.

날카로운 심으로는 그림에서 조화롭게 다루기 까다로운 측면이 있긴 하지만 이는 연습과 테크닉을 길러서 보완해야 하는 부분이지 샤프한 느낌을 포기해버리는 것은 표현 할 수 있는 한 부분을 버려버리는 것이라 권장 할만 한 것은 아니다.


7502.jpg

치수 안내

List of Articles
제목
1점 투시도법(one point perspective) - 나란히 서있는 평면 file
채반과 사과 file
웨트 인 웨트(Wet in Wet) 기법의 이해 file
노인 그리기(상) file
노인 그리기(하) file
아네모네 스케치부터 꽃줄기와 잎줄기까지... (상편) file
아네모네 - 잎부분과 완성까지... (하편) file
데생용으로 적당한 연필 깍는 법 file
연필깍지를 직접 만들어 보자. file
물테이프(gummed tape)로 화지 고정하기 file
벌어지거나 휘어진 붓모를 복구하는 방법 file
수채화 팔레트 색상배치와 물감 짜는 법 file
캔버스 틀에 천 입히기 강좌 file
캔버스에 젯소 칠하기 file
속건제 리퀸(liquin) 사용하기 file
크로키(croquis) file
물테이프(gummed tape) 제거하기 file
머그컵과 청사과 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