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주의 (Realism)
사실 주의 (Realism) 예술에 있어서 이상주의와 대조적인 입장을 취하는 주의. 상상이나 철학적 개념으로 채색되지 아니하고 물체, 풍경 또는 인물을 있는 그대로 충실히 묘사하고자 하며, 근대 사상의 하나인 실증주의를 표방한 회화적 이념이다.
|
산광
태양빛이 구름에 의해 여과되거나 간접적으로 비추는 빛, 인공광이 특정상황때문에 약해진 빛을 말한다.
|
상 징 (象徵 symbol )
상 징 (象徵 symbol ) 논리적으로는 결합되기 어려운 양 계기를 초논리적으로 매개하는 표현법. 일반적으로 감상적인 것에 있어 초감각적인 것 (이성)이 표현되는 것. 미는 이념의 감상화, 감각적인 것의 정신화이므로 상징은 미학상 극히 중요한 뜻을 갖는다.
|
상부광(top lighting)
상부광(top lighting) 광원이 대상의 상부에서 비추는 경우로 정오의 태양광이나 조명 바로 아래의 대상이 있을 때는 긴장감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
색 色 color
색 色 color 빛의 스펙트럼의 파장에 의해 식별할 수 있는 시감각의 특성으로 시각의 기본적 요소 중의 하나이다. 우리가 분간할 수 있는 색의 가짓수는 몇백만개가 되지만 색은 크게 흰색, 희색, 검정 계통에 속하는 .무채색(無彩色)과 무채색 이외의 모든 색...
|
색 상 (色相)
색 상 (色相) hue 명도, 채도와 더불어 색의 세 가지 속성 중 하나로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 등의 유채색을 종류 별로 나눌 수 있도록 구별되는 특성을 말한다.
|
색의 대비 (色對比)
색의 대비 (色對比) color contrast 어떤 색의 자극이 반대되는 색의 자극을 강하게 하도록 일어나는 색채 효과. 두 가지 이상의 색을 동시에 볼 때 일어나는 동시 대비와 한 색을 본 뒤 시간을 두고 색을 볼 때 생기는 계속 대비가 있다.
|
색의 병치 (色倂置)
색의 병치 (色倂置) 작은 여러 가지 색들을 나란히 늘어 놓는 것. 모자이크 미술, 신인상주의 회화 등은 모두 색의 병치에 의한 효과를 기도한 것이다.
|
색조 [ tone , 色調 ]
색채의 삼속성 중 명도와 채도를 통합한 개념. 색상과 채도의 복합적 용어인 색도와 구별된다(색도에는 명도의 개념이 없음). ISCC-NBS의 색이름 체계에는 색조에 따른 형용사로 색을 구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일본의 색채 연구소가 만든 배색 체계(P.C.C.S)...
|
색채 감정(color feeling)
색채 감정(colorfeeling) 개개의 색 또는 색의 조화가 갖는 심리적 효과인데, 그것이 의미와 결합되면 백색-순결, 남 색-용감, 녹색-친절, 청색-겸양 등의 이념을 나타내게 된다(칸트). 그러나 미술 특히 회화에 있어서는 개개의 색보다도 각 색깔의 관계에 의...
|
소 묘 (素描)
소 묘 (素描) 종이에 인물·풍경등을 흑색 또는 세피아등의 단색의 선에 의해 극히 간소하게 그려 낸 것으로서, 때로는 음영이나 색채가 실시된 경우도 있으나 주체는 묘선이다. 대개의 경우는 프랑스의 '데생'과 거의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소묘는 원래 ...
|
순광(front lighting)
순광(front lighting) 광원이 대상의 전면에서 비추는 경우를 뜻하며 명암의 대비가 약해 입체감이 약하며 특징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
스푸마토 (sfumato)
스푸마토 [sfumato] '연기'라는 뜻의 이탈리아어에서 유래된 용어. 회화에서 "공중에서 사라지는 연기같이" 색깔 사이의 경계선을 명확히 구분지을 수 없도록 부드럽게 옮아가게 하는 수법. 바자리에 의하 면 15세기 초 대가들의 특징인 '지나치게 뚜렷하고 거...
|
시점(視點)
시점(視點)이란 관찰자의 눈에서 바라보는 대상의 시선이 직선상에 닿는 지점을 말한다. 입체감을 표현하는데 시점(視點)의 개념은 투시도법을 적용하고 검증 하는데 확고히 잡혀있어야 하는 개념이다. 예를들어 위 참고 그림에서 눈에서 가장 가까운 시점은 ...
|
아카데미즘(academism)
아카데미즘(academism) 아카데미즘이란 본래 아카데미에서 나온 말로 일반적으로 학문이나 예술의 관학, 관전계의 작풍, 양식, 수법을 가리킨다. 따라서 미술사적으로는 고전적 규범에 충실한 고전주의적 경향을 의미한다. 그러나 근대 미술사에서는 반드시 고...
|
어둠의 흐름(core shadow)
어둠의 흐름(core shadow) - 빛을 받는 부분과 반사광의 경계부에 생기는 어둡고 희미한 경계선.
|
에보시 - ebauche(프)
에보시 - ebauche(프) 조각의 경우, 대출 깎아놓은 상태도 에보시이다. 스케치의 다음 단계로서 유화물감(예전에는 템페라)으로 대강 그린 것을 말한다. 작품은, 이 에보시에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 예컨대 파랑 바탕위에 칠한 검정은 한층 깊은 맛을 낸다. ...
|
역광(back lighting)
역광(back lighting) 광원이 대상의 뒤편에서 비추는 경우로 입체감을 표현하기가 비교적 쉽지 않지만, 대상이 대부분 어둠 속에 표현되므로 신비한 느낌이 든다.
|
웨트 인 웨트(wet-in-wet)
웨트 인 웨트(wet-in-wet) 먼저 칠한 색이 젖어 있는 상태에서 또다른 색을 덧칠하여 자연스러운 경계가 생기게 하는 기법이다.
|
인공광원
인공광원 : 전등불빛이나 촛불 빛등을 뜻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