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만한 자료들을 올려두었습니다.

afbr.JPG

 

투명 수채회구는 다른 종류의 회구와는 달리 종이의 발색에 의해 표현된다.

일반적으로 유회구를 비롯하여 일반회구는 화면에 물감을 칠하여 그물감 자체의 색상을 표현하는데 반하여 투명 수채회구는 종이의 질을 이용하여 물감의 색상이 표현되기 때문에 종이와의 관계는 필요불가분한 요소다.

1) 수채화 전문 용지의 개요 수백년 동안 변하지 않은 종이들은 100%면이거나, 면과 아마 의 혼합물인데 종종 100%래그 (Rag)라고도 부른다.

1세기 전과 같이 현재에도 수채화지는 넝마(버려진 면조각과 아마천, 침대보, 돛포 같은것)와 같은 성분으로 만듣다.

이것은 12세기에 유럽에서 처음 종이공장이 생겼을때와 그 제작법이 같다. 특히, 종이의 우열은 주로 사용하는 펄프의 종류에 따라 결정하는데 넝마, 동양의 닥나 무, 삼지 닥나무의 질긴 껍질은 최고급지의 원료가 된다.

수채화 용지는 제조방법에 따라

핸드 메이드와

몰드 메이드 그리고

머신 메이드로 구분된다.



핸드 메이드는 기능공의 손으로 한 장씩 추려서 만든 것으로 우리나라의 한지도 이에 속한다.

몰드 메이드는 반기계적으로 만들어지며,

머신 메이드는 전 공정을 기계를 거친 것으로 전문 수채화 용지로는 부적합하다.

2) 수채화 용지의 지질(紙質) 수채화 용지의 지질로서는 거칠은 순서로 황목, 중목, 세목으로 구별된다. 이는 종이를 제조할 때 건조전 공정으로 물을 짤 때 사이에 끼워 놓는 천의 눈이 그대로 종 이의 표면이 되기 때문이다.

ㄱ) 황목(Rough) 지우거나 비비거나 하기가 쉽기 때문에 그림을 배우는 사람들이 쓰기 편리하며 표면은 거칠다. 크고 대담한 작품에 좋다.

ㄴ) 중목(Cold Press) 섬세한 표현에 적당하고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ㄷ) 세목(Hot Press) 우둘두둘한 이빨이 없어서 겹칠에는 별로 좋지 않으나 크지 않은 그림의 세부 묘사에 적당하다. 중이에는 앞뒤가 있어서 문자가 들어있는 종이는 문자가 정상적으로 보이는 면이 앞쪽이다. 종이는 물의 흡수 정도에 따라서 흡수성과 비흡수성으로 구별하는데 비흡수성 종이는 물을 흡수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흡수정도가 늦다는 것을 의미하며 흡수성은 물을 쉽게 흡수하는 종이를 말한다. 몰드 메이드 종이도 눈이 있다.

물에 침수된 섬유는 일정한 방향으로 흐른다.

조직된 종이의 긴쪽의 섬유눈을 가로눈 이라하고 짧은 쪽의 섬윤눈을 세로눈이라 한다.

정상적이 아닌 종 이에 회구를 칠하면 회색점 같은 것이 생기거나 칠이 얼룩진다. 일반적 종이는 산 때문에 그 수명이 오래 가질 못한다. 수채용지는 무산성 또는 중성이라고 쓰여 있는지 확인 후 사 용하기 바란다.수채화지는 습기와 태양광선을 피하여 보관하는 것이 좋다.

3) 발색 투명 수채회구는 백색의 지질을 이용한 발색이므로 어떠한 종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발색 이 크게 달라진다. 종이에 물감을 칠하였을 때 종이는 물감의 수분만 흡수하지 않고 물감의 정착제도 동시에 흡수하지만 안료는 흡수하지 않는다. 흡수성이 있는 종이에 그리면 입체감 과 투명성이 좋으나 색상이 좀 어두워진다. 즉, 흡수성과 비흡수성 종이에 그림을 그릴 때의 차이점은 물감이 건조되지 않은 색과 건조후의 색 정도의 차이이다. 흡수성 종이에 건조하 기 전에 색과 건조한 후의 색의 차이가 있지만 비흡수성 종이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 주의할 점은 흡수성 종이를 사용하였을 때 도포한 색상은 건조에 따라 엷게 되므로 처음부 터 건조한 후의 색의 발색을 머리속에 기억해 둘 필요가 있다. 지면의 거친정도는 물감의 발색에 관계가 없다. 그러나 지면이 거칠면 빛의 반사가 여러갈래로 변하므로 그림의 깊은 맛이 표현되어 질 것이다.

흡수성과 비흡수성의 종이가 틀리는 것 중의 하나는 그림을 그리는 도중에 일부분을 지울 필요가 생겼을 때 비흡수성의 종이는 쉽게 제거할 수가 있지만 흡수성 종이는 안료가 종이 섬유에 밀착되어 적당히 제거할 수가 없는 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색상명의 어원 및 해설 (한글.영문 표기법)

  • 색채 · 재료학

색 이 름 어 원 및 해 설 (한글.영문 표기법) 그래스 그린 Grass green 옛날부터 쓰인 색의 이름. 풀색. 같은 뜻의 한국말 "초록". 짙은 황록색(deep yellow green) 나일 블루 Nile bile 나일강 물빛에서 온 말. 녹색 기미의 흐린색(dull greenish blue) 네이...

홀베인 수채화 물감 색상표

  • 화구

A~F

신한 - SWC 최고급전문가용 수채화물감 전체색상표와 24색세트 구성

  • 화구

Series Code 기호표시 혼색 제한 유해성분 주의표시 이 색상표에 표시되어 있는 (ABCDEF) 시리즈는 통보 없이 변경될 수 있으니 주문시에 꼭 확인 부탁드립니다. * 변색하기 쉬운 색 ** 중간 정도로 지속하는 색 *** 불변하는 색 **** 절대 불변의 색 X 혼색...

수채화 파렛트 생상표

  • 수채화

2004년8월 기준파렛트표 파렛트에 물감을 짤때 맨아래칸은 비워둡니다. 파렛트를 기울여서 빽붓으로 씻을때 맨아래에 물감이 있으면 지저분해지겠죠. 그래서 비워 둔것입니다. 그리고 원색계열인 블루계열과 레드계열을 씻을때 기준으로 위쪽애 배열하고 그린...

색채명에 붙은 Permanent는 무슨 뜻일까?

  • 색채 · 재료학

Permanent는 무슨 뜻일까? 천연 유기 염료는 색이 화려하지만 자외선에 견디는 힘이 약하다. 20세기 이후에 합성 염료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였는데 퇴색력을 보완하는 염료기술도 매우 발전하였으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합성염료인 아조계 염료이다. 이 ...

물감 색채명에 붙은 Tint와 Hue는 무슨 뜻일까?

  • 색채 · 재료학

색채학에서 Tint는 무슨 뜻일까? 색채를 연구하다 보면 Tint라는 단어가 자주 나온다. 색채학에서의 틴트는 엷은 빛깔의 뜻으로 색채의 배합, 색조에서 색의 농담을 나타낸다. 즉 검정에서 흰색으로 진행되는 단계적인 명도 밝기를 의미한다. 명암의 음영을 ...

수채화 용지의 분류와 소개

  • 수채화

투명 수채회구는 다른 종류의 회구와는 달리 종이의 발색에 의해 표현된다. 일반적으로 유회구를 비롯하여 일반회구는 화면에 물감을 칠하여 그물감 자체의 색상을 표현하는데 반하여 투명 수채회구는 종이의 질을 이용하여 물감의 색상이 표현되기 때문에 종...

혼색을 하면 왜 탁해지는가?

  • 색채 · 재료학

COLOR는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 세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물감은 감산혼합이므로 감산혼합에 대한 이해를 잘 하면 쉽게 풀 수 있다. 빛은 더하면 더할수록 밝아지고 순수해지는 가산혼합인데 반해 물감은 더하면 더할수록 탁해진다. 색을...

고급 수채화 물감이 비싼이유

  • 색채 · 재료학

고급 수채물감이 비싼 이유 전문가용일 경우 모든 물감 중에서 수채물감이 가장 값이 비싸다. 수채화는물을용액으로 쓰므로 유화나 아크릴에 비해 도막이 약하고 따라서 자외선이나공기중의 유해기체나 수분에 의해 퇴색되고 손상되기 쉽다. 수채화도 전문 화...

수채화의 기원

  • 수채화

안료를 물과 혼합하여 그리는 회화방법은 선사시대부터 동서양에서 전래되어 왔으나 그 기원은 정확하지 않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알타미라(ALTAMIRA)나 라스코(LASCAUX) 동굴벽 화가 천연안료를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였음을 불 수 있다. 즉, 흙에서 추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