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그림이 부족해 보여도 주저 말고 올려 지적을 받으세요. 배우러 왔으니 부족한것은 당연한 것이고 실제 그려보고 고민하는 그 과정이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그리고 처음오셔서 글쓰기 권한이 없을 경우 출석부에 출석 1회 해주세요.
관찰력과 분석력과 형태력 면에서 잘된 과제입니다. 지금 까지 올리신 과제를 볼때는 어디서 배우신것 같지는 않고 혼자서 공부를 많이 하신것으로 보이네요. 형태력만 봐도 소질도 있어 보입니다.
약간 아쉬운 점은 대상을 묘사 할때 선에 너무 많이 의존 하시는것입니다. 하나의 선을 쓰시더라도 힘조절을 통해 강약의 리듬을 주면 훨씬 그림이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질감이라고 하시는 것은 정물대상의 도자기의 매끈함이나. 바위의 거친듯한 느낌등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 네 맞습니다.
덩어리감이라는 것은 전체의 모양이나 명암의 강도등을 말씀하시는 건지? 잘못생각하고 있다면 설명부탁합니다. - 전체의 모양이라는것은 형태에 가까운 표현이고 명암은 덩어리감 표현의 한 수단입니다. 덩어리감이란것은 2차원적인 평면에 대상을 표현할때 평면이지만 입체감을 느끼도록 착각을 일으킬때 쓰는 개념이죠. 명암처리 면의 모임으로 물체 의 입체감, 양감과 비슷한 뜻입니다. 그림을 그리면 구상회화에서는 물체의 눈에 보이는 한 면만 표현이 되는데 보이지 않는 물체의 두께도 표현해 내는 것을 말하죠.
연꽃그려 보았는데 사진을 보고 그리다 보니 구도나 질감등이 스켓치나 유화등으로 표현할때 어떻게 표현할지 몰라서 그저 나름대로 사실적으로 표현을 하고 있는데, 특히 유화를 할때는 어떻게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많은 가르침 부탁합니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표현한다는게 어떤뜻인지도 부탁드립니다. -회화적이다라는 말은 글로만 표현하기 어려운 약간은 모호하고 구체적이지 않은 개념이라 아래 참고 그림과 글을 읽어 보시면 어느정도 감을 잡을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이미지 이임호 作 회화적 繪畵的 painterly(영) malerisch(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