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기획의 참신성, 규모, 구상미술 여부등 고려하여 추천

운영자 2011-03-16 22:53 조회 수 2870 댓글 수 0

옛 그림의 운치, 오래도록 머무는 마음

 
조선 중기의 화가 탄은 이정의 ‘니금세죽’. 한 폭의 대나무는 잎 이 위로 뻗어가는 모습을, 다른 한 폭에선 밤비를 맞아 아래로 처 진 댓잎을 표현했다. 이번 전시는 조선 후기의 작품을 조망하고 있 으나 임진왜란 이전 작품이 워낙 귀한 탓에 전시에 포함됐다.(위쪽), 이수민의 ‘강선독조’. 세부 묘사 를 생략한 소박한 그림에 맑은 기 운이 흘러넘친다. 동산방 화랑 제공(아래쪽)
 

검은 바탕에 금빛으로 빛나는 대나무 그림이 쌍을 이루고 있다. 둘은 능숙한 운필에서 닮은꼴이나 댓잎을 살펴보면 차이가 드러난다. 한쪽에는 막 세상에 나온 듯 어린 댓잎이 위로 힘차게 뻗어 있고, 다른 쪽에선 한밤에 비를 맞은 듯 잎이 땅을 향해 있다. 대나무 그림으로 동양회화사에서 당대 최고로 꼽혔던 탄은 이정(1541∼1622)의 ‘니금세죽(泥金細竹)’이다. 그 맥을 잇는 유덕장(1675∼1756)의 ‘설죽도’에선 서정적 운치가, 신위(1769∼1847)의 ‘묵죽도’에선 능숙한 필선이 돋보인다.

서울 종로구 견지동 동산방 화랑이 15∼28일 마련한 ‘옛 그림에의 향수’전은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고서화를 만날 기회다. 겸재 정선을 비롯해 심사정 윤두서 등 조선시대 후기 회화사를 빛낸 33인의 역량이 응축된 산수 인물 풍속 화조 사군자 등과 추사의 글씨 등 48점을 선보인다. 화랑이 소장한 작품과 컬렉터에게 빌려온 작품으로 구성했다.

도자기에 비해 보존이 쉽지 않아 숫자가 한정된 서화를 한데 모은 데다 대부분 미공개작이라 돋보인다. 도록에 해설을 쓴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은 “이번 전시는 회화사 몇 편의 논문보다 더 많은 미술사적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는 만큼 기대가 크다”고 소개했다. 눈 밝은 미술애호가에겐 그만큼 반가운 전시다. 02-733-5877

 

ge.jpg


○ 옛 그림, 마음속에 머물다

1층에는 대작이, 2층엔 알찬 소품이 즐비해 보는 이의 눈이 호사를 한다. 큰 그림에는 기운찬 필치와 호방한 기운이, 소품에는 ‘작은 화면을 크게 쓰는’ 선인의 지혜가 담겨 있다. 이 중 초원 이수민(蕉園 李壽民·1783∼1839)과 이인문(李寅文·1745∼1821)의 수묵 풍경은 작지만 짙은 정감과 문기(文氣)를 풍기는 수작이다. 이수민의 ‘강선독조(江船獨釣)’의 경우 밤에 나온 어부를 그렸는데 아련하고 소슬한 분위기가 스며 있다. 이인문의 ‘수간모옥(數間茅屋)’은 연한 먹으로 나무와 집을 간결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해맑은 기운이 살아 있다. 조촐한 아취가 스며든 두 작품은 문인화의 기품과 격조를 오롯이 담고 있다.

서울 북악산 정상 부근에 솟은 바위를 그린 정선의 ‘부아암(負兒巖)’도 인상적이다. 화면을 대각선으로 나누고 바위를 과감히 배치한 구도가 세련된 멋을 담고 있다. 생동감 넘치는 필치로 게를 그린 김홍도의 그림에선 게가 살아 움직이는 듯하다. 이 밖에 말과 인물을 잘 그렸던 윤두서가 그린 말 탄 선비, ‘남나비’라고 불린 남계우의 나비 소품, 매화 사랑으로 알려진 조희룡의 홍매 사폭, 괴석에 난초를 그린 이하응의 석란도 등 대표적 기량을 보여주는 작품이 풍성하다.

추사, 다산의 글씨도 곁들여 문예적 분위기를 살려냈다. 양사언과 함께 조선시대 초서의 대가로 꼽혔던 황기로의 육필 시고는 최근 보물 1625-2호로 지정된 작품이다.

○ 부자유친-아버지와 아들

요즘 상업화랑에서 고미술 전시를 만나기가 힘들어졌다. 고서화가 절대적으로 적은 데다 진위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일반 전시에 비해 몇 배의 품이 들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시를 기획한 박우홍 대표(59)는 “내 힘으로 못 하는 전시다. 아버지께서 축적한 바탕이 있으니까 가능했지. 내겐 아버지에게 헌정하는 전시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의 아버지는 1974년 동산방 화랑을 설립한 박주환 씨(82). 아버지가 1983년 조선시대 후기회화전을 열었으니 ‘옛 그림에의 향수’전은 그 속편일 터다. 아버지는 엉덩관절(고관절) 수술 후 걷는 게 불편하지만 요즘 날마다 화랑에 들러 아들의 전시에 격려와 응원을 보내고 있다. 우연히 마주친 기자의 이런저런 질문에 그는 “아들에게 물어보라”며 말을 아끼면서도 지나는 말처럼 한마디 남겼다.

“고미술은 이론만 가지고 되는 게 아니라 단번에 배울 수 없다. 난 무섭게 야단치는 걸로 유명한 사람인데…. 이제 (아들이) 내 마음을 다 안다. 상당히 많이 배웠다.”

아버지와 아들의 내공이 합쳐진 덕분에 마음에 오래 머무는 전시가 탄생했다. 좀 힘들더라도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이런 전시가 이어져 옛 그림의 아름다움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이 되살아나는 것이 이들의 또 다른 바람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갤러리압생트, 박승모 개인전 ‘幻 Solid Illusion’展

갤러리 압셍트는 6월 7일부터 7월 7일까지 한 달간 청담동 갤러리압셍트에서 박승모 개인전 ‘환(幻) Silid Illusion'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90년대 중반 영국이 아닌 인도로 가 명상과 수행으로 보낸 5년여의 시간은 박승모의 예술 전체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2011 오르세미술관展 ‘고흐의 별밤과 화가들의 꿈’

한국에 처음으로 소개되는 반 고흐의 <아를의 별이 빛나는 밤>과 함께 '빛의 마술’의 절정을 선보이게 될 2011년 최고의 전시! 반 고흐, 모네, 고갱, 르누아르, 세잔, 밀레, 앵그르를 포함한 19세기 후반의 대표 작가들의 회화, 데생, 사진 등 주옥 같은 오르...

브레인 팩토리<Homage to Morandi: Essence of Art>전시안내

이번 전시는 2008년도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열렸던 정물화의 대가 죠르지오 모란디(Giorgio Morandi, 1890~1964, Italian)의 회고전에서 목격한 꽃 그림에서 시작되어, 14명의 국내외 작가들이 모란디의 작품과 일생에 관련된 몇 가지 단초를 둘러싸...

펜화에 담는 ‘한국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 김영택전

■ 작가노트 펜화에 담는 ‘한국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 조선 백자 그릇에 만든 이의 낙관이나 서명이 있으면 무조건 가짜랍니다. ‘내 작품이니 멋지게 만들겠다.’ 는 욕심을 부리지 않던 조선 장인의 특성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것을 ‘무아(無我)의 미’라고 ...

생명의 긍정과 환희의 풍경―박구환의 판화전

생명의 긍정과 환희의 풍경―박구환의 판화 박구환의 판화에는 날카로운 칼맛이 부드러운 선과 색채 속에 갈무리 되어 있다. 목판화 앞에서 이처럼 섬세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갖게 되는 것은 유별난 경험이다. 그러나 우리는 섣불리 그의 작업이 그처럼 부드럽...

서울 동산방 화랑 조선후기 회화전

옛 그림의 운치, 오래도록 머무는 마음 조선 중기의 화가 탄은 이정의 ‘니금세죽’. 한 폭의 대나무는 잎 이 위로 뻗어가는 모습을, 다른 한 폭에선 밤비를 맞아 아래로 처 진 댓잎을 표현했다. 이번 전시는 조선 후기의 작품을 조망하고 있 으나 임진왜란 이전...

김은지 개인전

김은지 개인전 일상, 그들의 존재 『 경포바다 1, oil on canvas, 116.8cm x 91cm, 2010 』 일상, 그들의 존재 2011 갤러리 라메르 신진작가 창작지원 전시 작가로 선정된 김은지 작가의 개인전이 2월 16일부터 22일까지 인사동 갤러리 라메르에서 열린다. 갤...

혼을 담은 색의 작가 윤재우전

1. 기획의도 광주시립미술관(관장 박지택)은 혼을 담은 색의 화가 <윤재우>전을 개최합니다. 광주를 예향이라 부르듯이 역량 있는 많은 작가들이 광주를 기반으로 활동을 하였습니다. 윤재우 화백은 초창기 광주사범학교, 조선대에서 화가로서 미술교육자로서...

김준권 목판화전

먹으로 찍어낸 허정虛靜의 산수미山水美 김준권의 2007~2010년 수묵목판화 이태호李泰浩 |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1. 지난 8월 중순에 김준권金俊權 선생의 한국목판문화연구소를 방문했다. 충청북도 진천군鎭川郡 백곡면栢谷面 사송리沙松里 두주마을에 ...

아름다운 우리 옛 그림

아름다운 우리 옛 그림 1부, 한원미술관 소장품전 | 2010.12.30 - 2011.2.6 2부, 남정예 민화전 NAM JUNG YE 南貞禮 | 2011.2.9 - 2011.2.28 아름다운 우리 옛 그림전에 부쳐 박옥생| 한원미술관 큐레이터, 미술평론가 남정예 민화전-현대 민화의 창작에 관한 ...

겨울, 그리고 봄 / 흑자, 검은 빛을 머금은 우리 옛 그릇

○ 전 시 명 : 겨울, 그리고 봄(3F) / 흑자, 검은 빛을 머금은 우리 옛 그릇(2F) ○ 전시유물 : 서화, 도자기, 나전 등 / 고려 및 조선시대 흑자 ○ 전시기간 : 2010년 12월 7일부터 2011년 3월 31일까지 ○ 전시장소 : 호림아트센터 내 호림박물관 신사분관 제2,...

문봉선展 / Moon Bong-Sun /

問梅消息문매소식 문봉선 / 매화 / 친수묵채색 / 145x299cm / 2010 / 관람시간: 오전 10시 00분 ~ 오후 7시 00분 일요일 휴관 Tel. -- 공아트스페이스 Gong Art Space (110-300) 서울 종로구 관훈동 198-31 Tel. 02-735-9938 www.gonggallery.com 매화는 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