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만한 자료들을 올려두었습니다.
www.misulmun.co.kr 에서
해롤드 로젠버그와 클레멘트 그린버그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만 해도 미국은 유럽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예술 전반에 걸쳐 낙후해 있었다.
대전이 발발하자 히틀러의 모더니즘 미술에 대한 탄압을 피해 유럽의 많은 예술가들이 뉴욕으로 피신했으며 그들에 의해 미국 미술이 급성장하게 되었다.
예술가들만 뉴욕으로 피신한 것이 아니라 평론가들도 피신해왔으므로 미술비평도 발전을 꾀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만 해도 시인이나 문인이 평론에 종사했지만 대전 후 전문 평론가들이 출현한 것도 특기할 만하다.
대전 후 뉴욕 미술세계에서의 미술비평에는 그린버그와 해롤드 로젠버그Harold Rosenberg(1906-78) 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로젠버그가 미술품에 대한 해석으로 중요하게 여긴 것은 예술가의 창조행위였다.
그는 추상표현주의 화가들의 작품 특히 잭슨 폴록Jackson Pollock(1912-56)의 작품을 해석하는 데 있어 그의 창조행위에 역점을 두고 액션 페인팅Action Painting이란 말을 사용했다.
그는 예술가에게 있어 캔버스를 창조행위를 위한 투기장으로 보았으며 캔버스에서 발생하는 것을 허구의 이미지가 아니라 사건으로 보았다.
그가 폴록의 작품을 사건으로 해석한 것은 적중했는데 그 밖에 달리 설명할 만한 말이 없었기 때문이다.
창조행위를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니 그는 회화에서 필수적인 요소들로 여겨온 형태, 색채, 구성, 드로잉 심지어 캔버스마저 없어도 무방하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미술에 대한 새로운 개념으로 유럽 모더니즘 회화의 전통과 단절하고 새 모습으로 회화가 탄생했음을 선언하는 것이었다.
영국 평론가 허버트 리드는 말했다.
로젠버그의 비평은 화가들이 자기 자신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것이야말로 비평의 최고 기능이며 창조과정에 대한 강력한 공헌이다.
로젠버그와 달리 그린버그는 유럽 전통 미학 이론에 근거하여 추상표현주의를 해석하려고 했다.
그는 창조행위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작품의 완성도에 중점을 두었다.
그가 로젠버그보다 더 위상이 높을 수 있었던 것은 미국 회화의 우위성을 역사의 필연으로 강조한 때문이다.
그는 형식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는데 미술사에 대한 그의 인식은 하인리히 뵐플린의 가시적 전개로서의 양식사였다.
뵐플린의 미술사에 대한 ‘선적’(혹은 조소적, 고전적) 그리고 ‘회화적’(혹은 바로크적)인 개념들이 르네상스 이래 현대에까지 주기적으로 교체되어 왔다고 그린버그는 생각했으며 상응하는 두 원리의 변증법적 전개로서의 회화사를 생각했다.
선적, 회화적 어느 쪽의 주기적 교차의 국면에서도 회화는 보다 순수하게 회화적인 것이 되어 왔다고 주장했는데 그가 말한 ‘순수’는 칸트의 ‘순수이성’을 ‘순수회화’로 바꾼 개념이었다.
그에게 칸트는 최초의 모더니스트였다.
그린버그는 선적인 지향도 궁극적으로는 이전보다 더욱 회화적인 것이 되어 이의 가능성을 확대했다고 주장했다.
컬러필드 페인팅Color Field Painting에 대한 그의 옹호는 이 같은 이론에 근거했으며, 회화의 고유한 이차원성 즉 평면성을 자각적으로 행해진 자기순화로서의 근대주의적 환원으로 간주했다.
그는 선적 그리고 회화적 두 원리가 컬러필드 페인팅에서 마침내 지양되었다고 보았다.